본문 바로가기
의학분야

널싱스킬(nursing skills) 성인간호학 정답 총정리!

by Nursing information 2021. 1. 9.
728x90

간호사정: 복부와 생식기, 직장

(Assessment: Abdomen, Genitalia, and Rectum)

 

1. 수습기간 중, 신규 간호사가 복부사정을 수행 중이다. 실습과 공부가 더 요구되는 행동은 무엇인가?

  A. 내장을 촉진하기 전에 시진한다.

  B. 대상자를 만지기 전에 모든 압통에 대해 확인한다.

  C. 타진(percussion)하기 전에 시진을 마친다.

  D. 복부를 청진하기 전에 촉진한다.

 

2. 간호사는 대상자의 복부가 팽만 된 것을 사정했다. 팽만의 원인이 액체인지 기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간호사는 파동(fluid wave)를 확인하기 위한 타진을 시행해야 한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A. 파동(fluid wave)이 있으면 팽만을 야기한다.

  B. 파동(fluid wave)이 있으면 복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 황달과 소양증(pruritus) 체위 의존성 부종(dependent edema), 표피 복부정맥의 비대는 간울(liver congestion)로 인한 복수와 자주 동반된다.

  D. 파동(fluid wave)의 존재는 주로 사용하는 손을 사용하여서 알아낼 수 있다.

 

3. 구토설사를 한 과거력이 있는 노년의 여자 대상자가 있다. 사정을 통해서 대상자가 무기력하고, 부의 탄력도 감소되었으며, 지난 3일 동안 2.268 kg(5 pounds)가 감소했으며, 적혈구용적률(hematocrit)51%였다. 소변검사를 위한 검체를 받으면서 간호사는 진한   호박색의 소변을 관찰했다. 간호사가 추가적으로 발견해야 하는 사정자료는 무엇인가?

  A. 장음의 저하와 소변비중의 상승(1.026)

  B. 농축뇨와 항진된 장음

  C. 촉촉한 점막과 낮은 소변비중(1.008)

  D. 모세혈관 재충혈 시간(capillary refill time)의 상승과 빠르게 반응하는 동공

 

4. 복부사정 중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복부의 사분면 마다 5분간 청진한다.

  B. 대상자를 똑바로 눕히고 양팔은 뒤로 가게 하거나 머리 위에 놓게 한다.

  C. 커진 덩어리나 장기를 깊고 확실하게(firmly) 촉진한다.

  D. 통증 있는 복부의 사분면을 먼저 사정한다.

 

5. 의사에게 당장 연락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62의 남자 대상자의 명치부(epigastric region)에서 혈관음(vascular sounds)이 들린다.

  B. 수술은 마친 30세 여자 대상자에게서 들리는 희미하고 저하된(hypoactive) 장음

  C. 70세 여자 대상자의 쉽게 만져지는 간(liver)

  D. 5세 여아 대상자의 오른쪽 하부 구획에서 만져지는 단단한 덩어리

6. 만약 대상자의 유치도뇨관이 막혔다면 간호사가 발견하게 될 사항은 무엇인가?

  A. 치골부위에 부드럽고 동그란 덩어리

  B. 초음파 검사로 확인된 수파(a fluid wave)

  C. 늑골척추각(costovertebral angle) 부위의 통증

  D. 정중선 무딘 명치 통증(midline dull epigastric pain)

 

7. 간염이 있는 대상자는 보통 간이 확대된다. 이것이 가장 잘 촉진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A. 좌상복부

  B. 우상복부

  C. 우하복부

  D. 좌하복부

 

8. 노인 대상자에게서 볼 수 있는 위-내장기능(G-I function)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변비인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

  A.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는 것

  B. 감소된 연동운동(peristalsis)

  C. 증가된 수분 섭취

  D. 감소된 복부의 긴장도(abdominal tone)

간호사정: 흉곽과 폐

(Assessment: Thorax and Lungs)

 

1. 간호사가 대상자의 호읍음을 청진하다가 미세한 수포음을 들었다고 기록하였다. 간호사가 들은 소리는 무엇인가?

  A. 들숨 시에 들리는 크고 낮은 음조의 거친 소리

  B. 들숨 시에 들리는 건조하고 삐걱거리는 소리

  C. 날숨 시에 들리는 높은 음조의 끽끽거리는 소리

  D. 들숨이나 날숨 끝에 들리는 미세하고 짧은 비연속적인 수포음

 

2. 간호사는 대상자의 가슴 뒷면 청진 시 호흡 주기 전반에 걸쳐 크게 우르릉거리는(rumbling) 거친 소리를 들었다. 다음 중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대상자의 자세를 바꾸고 다시 청진한다.

  B. 대상자에게 기침을 하도록 한다.

  C. 청진기의 종형(bell)으로 바꿔 청진한다.

  D. 가슴 앞면에서 다시 확인한다.

 

3. 4개월 된 영아가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였다. 다음 중 호흡곤란을 나타내는 결과는 무엇인가?

  A. 각 호기마다 작게 끙끙거리는 소리(grunt sound)

  B. 전후경과 좌우경(AP diameter)의 비율이 1:1

  C. 복식 호흡(abdominal breathing)

  D. 분당 30회의 호흡수

 

4. 대상자는 매일 1갑 반의 흡연을 10년 동안 지속했으며 매일 2갑으로 양을 증가시킨 후 10년간 흡연을 했다. 그 후 대상자는 20년 동안 금연을 했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갑년(pack-years)을 계산한 것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30갑년(pack-years)

  B. 35갑년(pack-years)

  C. 15갑년(pack-years)

  D. 20갑년(pack-years)

 

5. 흡연하는 대상자에게 금연 교육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대상자의 말은 무엇인가?

  A. “석면(asbestos) 주위에서 일하는 환경이 저의 폐암 위험을 높이고 있어요.”

  B. “오늘 제가 금연을 한다면 폐암의 위험이 줄어들 거예요.”

  C. “금연을 하기에 너무 늦었어요. 이미 손상됐어요.”

  D. “기침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면 의사에게 전화해야 해요.”

6. 뒷면의 가슴 움직임을 사정할 때 간호사는 대상자의 뒤에 서서 양 엄지손가락을 10번째  늑골의 척추극돌기(spinal processes)에 놓는다. 가슴 확장 시에 양 엄지손가락이 대칭적으로 벌어진다면 이는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가?

  A. 폐색전(pulmonary embolus)이 의심됨

  B. 정상적인 가슴 움직임 양상

  C. 환기 시 통증으로 인해 지지(splinting)하고 있음

  D.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7. 성인 남성이 교통사고 시 에어백의 오작동으로 늑골을 다쳤다. 다음 중 초기 사정 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A. 호기 천명음(expiratory wheeze)

  B. 곤봉지(clubbing of the digits)

  C. 혈액 섞인 객담을 배출하는 목쉰 기침(hoarse cough productive for blood)

  D. 국소 부종과 압통

 

8. 오래된 건물을 개조하는 일을 하는 성인 남성이 폐암이 의심된다고 들었다. 대상자는 흡연을 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단호히 부인하고 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답변은 무엇인가?

  A. “석면(asbestos)에 노출되는 것은 폐암 발생의 높은 위험 요소입니다.”

  B. “기침을 지속적으로 하셔서 폐암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C. “당신의 가족 중 폐암을 앓았던 분이 계셨을 겁니다.”

  D. “지금 이것은 폐암의 위험 요소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9. 대상자의 기도를 청진하는 동안 크고 높은 음조의 텅 빈(hollow quality) 호흡음이 들렸고 들숨보다 날숨에서 더 길게 들렸다. 다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네뷸라이저(nebulizer) 처방을 요청한다.

  B. 가슴 사정을 지속한다.

  C. 흉관삽입술(thoracostomy)을 위해 바늘을 준비한다.

  D. 의사에게 바로 보고한다.

 

10. 노인 대상자 사정 시 과도한 객담과 습한 기침을 자주 보인다. 다음 중 가장 도움이 되는 약물이나 장치는 무엇인가?

  A. 독감 주사(flu vaccine)

  B. 비재호흡 마스크(non-rebreather mask)

  C. Yankauer 흡인

  D. 에피네프린(epinephrine)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위치확인

(Feeding Tube: Verification of Placement)

 

1. 간호사가 학생간호사에게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의 위치확인에 대해 교육을 하고 있다. 간호사가 학생간호사에게 위장관 위치를 확인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학생간호사가 내용을 이해했음을 잘 나타내는 대답은 무엇인가?

  A. 공기 청진

  B. 흡인된 내용물의 색깔 관찰

  C. X-ray 확인

  D. 흡인된 내용물의 pH 확인

 

2.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간헐적 장관영양(intermittent tube feeding)을 준비하고 있다.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의 위치를 확인하는 가장 적합한 시간은 언제인가?

  A. 영양공급 전

  B. 영양공급 후

  C. 영양공급 도중

  D. 각 영양공급 이전에 반복적인 x-ray 촬영과 동시에

 

3. 간호사가 비장관(nasointestinal tube)을 통해 내용물 흡인을 준비하고 있다. 간호사는 흡인된 내용물의 양상을 어떤 색깔로 예상해야 하는가?

  A. 투명(clear)

  B. 황색(yellow)

  C. 적색(red)

  D. 짙은 갈색(dark brown)

 

4. 구경이 작은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에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나, 대상자가  기침하는 동안 산소포화도(oxygen saturation)97%~90%로 감소하였다. 간호사가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침대의 머리를 낮춘다.

  B. 지속적 장관영양(continuous enteral feeding)을 중단한다.

  C. 대상자의 숨소리를 사정한다.

  D. 의사에게 알린다.

 

5. 호사가 금식 대상자의 위장관(enteral feeding tube)에서 흡인된 내용물의pH를 확인하고 있다. pH 시험지로 측정한 결과 pH5 미만이다. 간호사는 내용물이 어디에서 나온 것으로 의심해야 하는가?

  A. 소장(Small intestine)

  B. 식도(Esophagus)

  C. 기관지 분지(Tracheobronchial tree)

  D. (Stomach)

비위관: 삽입, 세척, 제거

(Nasogastric Tube for Gastric Decompression)

 

1. 비위관(NG tube)이 폐가 아닌 식도와 위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A. 튜브가 삽입되기 전에 대상자에게 물을 삼키게 한다.

  B. 튜브를 삽입할 때 대상자의 목을 과신전(Hyperextend) 한다.

  C. 대상자에게 천장을 보도록 한다.

  D. 대상자의 턱이 목에 닿게 하는 자세(chin-tuck position)를 취하게 한다.

 

2. 비위관(NG tube)을 처음 삽입할 때 저항감을 느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저항감이 느껴져도 억지로 넣는다.

  B. 튜브를 뒤로 살짝 빼고 각도를 아래로 향한다.

  C. 절차를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D. 튜브에 윤활제를 바르고 같은 콧구멍으로 다시 삽입한다.

 

3. 간호사가 약물 주입을 위해 대상자에게 비위관을 방금 전 삽입하였다.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가장 정확한 방법은 무엇인가?

  A. (stomach)에 공기를 넣는다.

  B. 위 내용물을 흡인한다.

  C.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D. 흡인된 내용물의 pH를 측정한다.

 

4. 위 수술 후 감압술(decompression)을 위해 비위관을 삽입한 대상자를 간호사가 돌볼 때,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비위관(NG tube)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4시간마다 비위관을 재 위치시킨다.

  B. 생리식염수로 튜브를 세척하기 위해 공기배출구(air vent)를 사용한다.

  C. 대상자의 상태나 의사의 처방에 금기 사항이 아니라면, 침상 머리를 올려준다.

  D. 공기 10mLLevin tube의 주요 구멍(main lumen)에 넣어 세척한다.

 

5. 간호사는 비위관(NG tube)이 잘못 위치되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가?

  A. 처음 X-ray로 확인한 위치에서 측정한 튜브의 외부 길이와 현재 튜브의 외부 길이를  비교하여 확인한다.

  B. 공기를 주입할 때 배에서 소리를 듣는다.

  C. 위 분비물을 흡인하여 색의 변화를 확인한다.

  D. 위액의 pH를 확인한다. 알카리성 pH는 튜브가 잘못 위치되었음을 나타낸다.

6. 비위관(NG tube)을 한 대상자에게 흡인을 하자 구역과 구토를 시작한다.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무엇인가?

  A. 흡인이 적절하지 못하다.

  B. 위에서 흡인이 적절이 되었다면 대상자는 불편함이 없다.

  C. 튜브의 팁이 위(stomach) 안에 있다.

  D. 항구역제(antinausea medication)를 미리 주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7. 비위관(NG tube) 기능의 가장 중요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변의 상태(stool status)를 관찰한다.

  B. 전해질 수치를 검토한다.

  C. 소변 배출량을 관찰한다.

  D. 대상자의 증상, 복부 상태, 튜브로 나오는 물질을 사정한다.

 

8. 비위관을 제거하기 전에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대상자에게 불편감은 삽입 시와 비슷할 것임을 설명한다.

  B. 튜브에 적은 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내의 용액을 비운다.

  C. 대상자에게 제거하기 바로 직전에 크게 숨을 내쉬라고 설명한다.

  D. 대상자에게 제거 후 20분 동안은 코를 풀지 않도록 설명한다.

 

9. 비위관 삽입 시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중재는 무엇인가?

  A. 튜브 삽입이 불편할 수 있다고 미리 알려 주어 대상자를 놀라지 않게 한다.

  B. 튜브 삽입 시 구토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곡반(emesis basin)을 들고 있도록 한다.

  C. 대상자가 잡거나 쥐고 있을 수 있는 무언가를 제공한다.

  D. 대상자의 머리를 뒤로 하여 편안하게 한다.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약물 투여

(Feeding Tube: Medication Administration)

 

1. 충수절제술을 받은 대상자가 감압을 위해 비위관(NG tube)을 하고 있다. 대상자의 수술 후 통증에 대한 처방으로 경구용과 정맥주입용 모르핀(morphine)이 처방되었다. 대상자가  복통을 호소할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정맥주입용 모르핀(morphine)을 투여한다.

  B. 비위관으로 경구용 모르핀(morphine)을 투여한다.

  C. 복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위관(NG tube)을 제거한다.

  D. 모르핀(morphine)을 구강으로 투여하고 비위관을 30분간 잠궈 놓는다.

 

2. 대상자가 장용해 알약(enteric-coated medication)을 위루관(gastrostomy tube)으로   투여하는 처방을 받았다.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약물을 잘 갈아서 30mL 이상의 물에 섞는다.

  B. 약물 투약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C. 가능한 대체 약물에 대하여 약사와 의사에게 문의한다.

  D. 약물을 잘 갈아서 되도록 적은 양의 물에 섞는다.

 

3. 위루관(PEG)을 통하여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투여할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약물을 약 컵에 함께 섞어 함께 주고, 관을 세척한다.

  B. 각각의 약물을 분리하여 주고 약과 약 사이에 15 mL의 정제수로 세척한다.

  C. 모든 약물을 주사기에 하나씩 넣고, 30 mL의 물로 세척한다.

  D. 약물 사이에 어떠한 세척 없이 각각의 약물을 분리하여 준다.

 

4. 비위관(NG tube)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는 동안 간호사는 첫 15 mL의 물이 잘 흘러 들어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 중 간호사가 처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NG 튜브에서 주사기를 제거하고 약물에 물을 더 섞는다.

  B. NG 튜브를 제거하고 막히지 않은 튜브를 재삽입한다.

  C. 약물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 영양 주입 펌프(feeding pump)를 사용한다.

  D. 30 mL 또는 60 mLENFIT ® 주사기와 따뜻한 물을 사용하여 주사기의 내관을     부드럽게 앞으로 밀고 뒤로 당겨 움직인다.

 

5. 비위관(NG tube)을 통해 젤 캡슐(gelcap)을 투여하기 위해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

  A. 따뜻한 물에 젤 캡슐(gelcap)을 녹인다.

  B. 젤 캡슐(gelcap)을 무균 바늘로 뚫어 멸균 증류수에 내용물을 용해시킨다.

  C. 대체 가능한 약물을 약사에게 문의한다.

  D. 젤 캡슐(gelcap)을 잘라 가능한 많은 액체를 모은다.


6. 약물 투여를 하고 영양액 주입을 하는 것 사이에 비위관(NG tube)을 통해 영양액을 Bolus로 주입하지 않고 있을 때,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NG tube를 제거한다.

  B. NG tube를 장관영양백에 계속 연결시킨다.

  C. NG tube를 열어 두어 공기가 들어오게 한다.

  D. NG tube의 근위부 말단에 있는 클램프를 잠그고 마개를 씌운다.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비장관, 위루관, 공장루관

(Feeding Tube: Enteral Nutrition via Nasoenteric, Gastrostomy, or Jejunostomy Tube)

 

1. 대상자가 흡인의 위험이 있을 때, 장관영양을 위해 다음 중 어떤 유형의 위장관을 사용  해야 하는가?

  A. 위루관(Gastrostomy tube)

  B. 비위관(Nasogastric tube)

  C. 공장루관(Jejunostomy tube)

  D. 구위관(Orogastric tube)

 

2. 적 장관영양(intermittent enteral feeding)을 준비할 때, 간호사가 취해야 하는 행동으로 옳은 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흡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왼쪽으로 눕힌다.

  B. 영양액이 실온 정도인지 확인한다.

  C. 영양액을 차갑게 유지시킨다.

  D. 대상자가 앙와위 자세를 취하게 한다.

 

3. 간호사가 위루관(gastrostomy tube)을 가진 대상자의 위 잔여량을 확인하였더니 150 mL가 측정되었다. 간호사가 해야 하는 행동으로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흡인된 위 잔여량을 버리고 주입을 시작한다.

  B. 영양공급을 중단하고 1시간 후에 다시 시작한다.

  C. 흡인물을 위에 다시 넣어주고 주입을 시작한다.

  D. 영양액 주입을 멈추고 의사에게 알린다.

 

4. 간호사가 간헐적 장관영양(intermittent enteral feeding)을 시행하고 있다. 영양액은 다음 중 어떤 속도로 주입해야 하는가?

  A. 30~60분 동안 서서히 주입한다.

  B. 20분 이내에 주입 완료한다.

  C. 24시간 이상 주입한다.

  D. 가능한 빠르게 주입한다.

 

5. 대상자가 개방형 지속적 장관영양(open enteral feeding system)을 받고 있다. 간호사는 얼마나 자주 이 시스템을 교환해야 하는가?

  A. 8시간마다

  B. 12시간마다

  C. 4~8시간마다

  D. 48시간마다


6. 다음 중 장관영양(enteral feeding)이 필요하지 않은 대상자는 누구인가?

  A. 연하곤란(impaired swallowing)이 있는 대상자

  B. 수술 때문에 하루 동안 구강 섭취를 못하는 대상자

  C. 영양결핍(nutrition deficit)이 있는 대상자

  D. 기계호흡(mechanical ventilation)을 받고 있는 대상자

 

7. 간호사가 위관영양(gastric enteral feeding)을 시작하려고 한다. 다음 중 위관영양액 주입을 멈추고 의사에게 보고해야 하는 대상자는 누구인가?

  A. 앙와위(supine) 자세를 취할 수 없는 대상자

  B. 장음(bowel sounds)이 소실된 대상자

  C. 영양액에 알레르기가 있는 대상자

  D. 설사를 하는 대상자

 

8. 장관영양(enteral feeding)을 준비 하는 동안 간호사가 취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영양액을 차게 준비한다.

  B. 영양액의 유효 기간을 확인한다.

  C. 장관영양액 라벨이 정확한지 확인한다.

  D. 올바른 튜브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한다.

 

9. 대상자는 절차상 앙와위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하지만 위관영양(gastric enteral feeding)이 필요한 상황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액을 주입하기 위해 어떤 자세를 취해주어야 하는가?

  A. 트렌델렌버그 체위(Trendelenburg position)

  B. 역트렌델렌버그 체위(Reverse Trendelenburg position)

  C. 우측위

  D. 좌측위

 

10. 신생아에게 제공하는 영양액은 얼마나 오랫동안 걸어 놓을 수 있는가?

  A. 24시간 마다

  B. 8 시간

  C. 12시간

  D. 4시간

 

 

 

 

위관영양 및 장관영양: PEG, 위루관, 공장루관 간호

(Feeding Tubes: PEG, Gastrostomy, and Jejunostomy Care)

 

1. 장관영양 튜브(eneral feeding tube) 삽입을 돕고 있는 간호사가 다음 중 어떤 종류의   튜브의 경우 봉합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하는가?

  A. PEG tube

  B. 공장루관(J tube)

  C. 위루관(G tube)

  D. 비위관(Nasoenteric tube)

 

2. 간호사가 PEG 튜브, 위루관(G tube)하고 있는 대상자들을 간호하고 있으며, 간호사는 이들이 흡입의 위험이 있음을 알고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막기 위해서, 대상자가 장관영양을 받고 있을 때, 간호사가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장관 영양액을 처방 받은 속도에 맞게 주입한다.

  B. 침상의 머리를 적어도 30° 로 올려 유지 시킨다.

  C. 튜브를 통해 Bolus 주입법만을 사용하여 투여한다.

  D. 침상을 수평자세로 유지시킨다.

 

3. 혼돈이 있는 대상자가 실수로 새로 삽입한 장기간 위장관 튜브를 빠지게 하였다. 간호사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장관영양을 지속하기 위해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삽입하고 의사에게 알린다.

  B. 삽입 부위에 마른 거즈를 대고 복대로 덮는다.

  C. 수술실에 외과적 시술이 필요한 대상자의 요구사항을 알린다.

  D. 삽입 부위에 건조 멸균 드레싱을 덮고 의사에게 알린다. 즉시 내시경을 이용하거나 혹은 방사선 영상을 이용한 튜브 삽입을 하게 될 것을 예상한다.

 

4. 간호사는 PEG 튜브를 가진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삽입 부위 사정 시 간호사는 고정판이 이동하거나 피부 속으로 들어가 버린 것(buried)을 발견하였다. 고정판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는가?

  A. 피부 위에서 0.5~1.5 cm정도 되는 부위로 피부에 압박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위치

  B. 피부에서 1.3 cm 정도 되는 부위로 대상자의 안위 증진과 드레싱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

  C. 튜브의 이동을 방지하고 혼돈이 있는 대상자의 튜브가 실수로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에 압박을 주는 위치

  D. 피부에서 0.6 cm정도 되는 부위로 드레싱 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피부와 삽입 부위   사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위치


5. 간호사는 대상자의 삽입한 튜브의 개구부 주변에서 발적을 발견하였다. 간호사는 무엇을 우려해야 하고 또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간호사는 대상자가 장관영양액 주입에 견디지 못한다는 것을 우려해야 하고 복부 팽창, 팽만감, 오심, 구토 등의 기타 증상과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B. 간호사는 튜브가 잘못된 위치에 있을 위험에 대해 우려하고 튜브가 손상되었거나 길이가 길어지거나 혹은 짧아졌는지 등의 기타 징후를 관찰한다.

  C. 간호사는 개구부 주변에 감염이 발생했는지에 우려해야 하고 화농성 배출물, 개구부   부위의 종창, 열 등 감염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한다.

  D. 간호사는 고정판이 피부와 피하조직 속으로 이동했는지 우려해야 하고, 장으로 이동으로 인한 장폐색 등의 기타 징후가 있는지 확인한다.

간호사정: 호흡(Assessment: Respirations)

 

1. 아동의 호흡수에 대해 사정해야 할 때는 다음 중 어느 때인가?

  A. 심첨 맥박(apical pulse)을 사정한 후에

  B. 고막 체온계를 사용한다면, 체온 측정하는 동안

  C. 심첨 맥박(apical pulse)을 사정하는 동안

  D. 다른 지표(parameter)들을 사정하기 전에

 

2. 대상자의 호흡 사정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대상자의 팔 또는 검사자의 손을 자연스럽게 대상자의 상복부(upper abdomen)에 올려놓는다.

  B. 침대를 편평하게 한다.

  C. 보충적인 산소 공급을 중단한다.

  D. 호흡 사정을 받고 있는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3. 간호사가 3살 된 대상자의 호흡수를 사정하고 있는데, 호흡 양상 및 빈도가 불규칙적이다. 간호사가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A. 이 양상은 호흡기 감염(respiratory infection)을 의미한다.

  B. 영유아는 불규칙적인 호흡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C. 영유아에게 불규칙적인 호흡 양상은 정상이 아니다.

  D. 이 결과는 과호흡(hyperpnea)을 의미한다.

 

4. 2일 전에 자동차 교통사고로 심한 두부손상을 받은 대상자가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호흡 양상이 불규칙하게 얕은 호흡 주기로 시작하여 점차로 깊이와 횟수가 증가하다가, 다시   느려져 무호흡이 있고, 이런 호흡 양상이 반복되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호흡 양상은 다음 중 무엇으로 불리는가?

  A. 과호흡(Hyperpnea)

  B. 쿠스마울 호흡(Kussmaul respiration)

  C. 체인스토크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D. 비오트 호흡(Biot’s respiration)

 

5. 당뇨병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으로 입원한 대상자는 갈라진 입술과 건조한 점막 상태를 보이고 있다. 호흡은 깊고, 규칙적이며 빠르다. 이런 호흡 유형은 다음 중 무엇으로 불리는가?

  A. 쿠스마울 호흡(Kussmaul respiration)

  B. 과호흡(Hyperpnea)

  C. 비오트 호흡(Biot’s respiration)

  D. 체인스토크 호흡(Cheyne-Stokes respiration)


6. 대상자가 복도를 돌아다니고 있다면 호흡수는 어떻게 변화되는가?

  A. 변화 없음

  B. 정상보다 느림

  C. 정상보다 빠름

  D. 정상

 

7. 대상자의 호흡 깊이를 사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A. 깊은 호흡을 하고 멈추도록 대상자에게 요구한다.

  B. 호흡수를 파악하는 동안 흉벽 움직임의 정도를 관찰한다.

  C. 느리고 깊은 호흡을 하도록 대상자에게 요청한다.

  D. 흉부 앞을 청진한다.

 

8. 대상자의 호흡 이상의 주요 위험 요인은 무엇인가?

  A. 빈혈(anemia), 폐렴(pneumonia), 골다공증(osteoporosis)

  B. 폐렴(pneumonia), 골다공증(osteoporosis), 연령(age)

  C. 골다공증(osteoporosis), 연령(age), 흡연

  D. 흡연, 빈혈(anemia), 폐렴(pneumonia)

 

9. 대상자가 입원 과정에서 걷기 등과 같은 활동으로 인해 짧아진 호흡으로 불편감을 호소  한다.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것이 새롭게 발견되었을 때 의사에게 보고해야 하는가?

  A. 들숨(inspiration)과 날숨(expiration) 시 통증

  B. 화장실에서 나온 후 짧은 호흡

  C. 산소 포화도(SpO2) 96%

  D. 분당 20회 호흡수

 

10. 정하는 동안 간호사는 대상자가 움직일 때 안절부절하고 흥분, 혼동을 보이며 의식수준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의사에게 보고 후,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확인한 후에 간호사가  음 단계에서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A. 대상자의 동맥혈가스(arterial blood gases)를 사정한다.

  B. 대상자의 최근 약물 목록을 확인한다.

  C. 대상자의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한다.

  D. 대상자가 혼동되어 있는 것을 보호자에게 알린다.

기도 유지(Airway Positioning)

 

1. 응급실에 흉통을 호소하며 도착한 성인 대상자가 비정상 호흡과 함께 반응이 없는 상태이다. 이때 가장 적절한 기도 개방법은 무엇인가?

  A. 이마에 한 손을 얹어 머리를 뒤로 젖히고(과신전된 목) 하악골을 이동하여 앞으로 턱을 들어올린다.

  B. 후두를 상승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머리 아래에 수건을 깔아 놓는다.

  C. 엄지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에 하악골을 잡고 앞으로 끌어당긴다.

  D. 대상자를 침대 머리끝으로 옮겨서 머리는 매트리스 끝으로 낮게 떨어뜨려 적당한 목의 과신전을 만든다.

 

2. 응급실에 무의식 대상자가 왔을 때, 간호사는 다음 중 무엇이 기도폐쇄의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A. 잘못된 머리 체위

  B. 입덧과 복부내용물의 흡입

  C. 부종

  D. 인두 뒤쪽으로 혀의 이동

 

3. 무의식 외상 대상자의 기도 개방을 위해 턱 밀어 올리기 방법을 수행 하였다. Bag-mask 장치로 환기를 시도했으나 반응이 없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행동은 무엇인가?

  A. 구인두를 흡인하고 구강이나 비강으로 인공 기도를 삽입한다.

  B. 목을 잘 신전시키기 위해 어깨 아래에 수건을 깔고, 폐 환기를 제시도 한다.

  C. 의사에게 알리고 대상자의 기관 삽관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한다.

  D. 머리를 재위치 시키고 하악거상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목 신전을 시도한다.

 

4. 간호사는 신생아에게 하악거상법을 수행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머리를 중앙에 둔 자세로 젖혀서 목을 약간 신전 시킨다.

  B. 목이 과신전 되도록 목 아래와 앞이마에 약간의 압력을 가한다.

  C. 기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대후두 아래에 작은 패드를 깔아 놓는다.

  D. 머리를 뒤로 젖히고 하악골의 각을 올리면서 턱을 앞으로 민다.

 

5. 세 살 된 아동의 부모가 아이가 고열, 인후, 침을 흘린다고 하며 응급실로 데려왔다. 간호사는 이 아이에게 최대한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체위를 취해야 하는가?

  A. 아동을 반좌위로 비스듬히 기대앉도록 한 자세에서 구강 인두관을 삽입한다.

  B. 머리를 중앙에 두고 앙와위를 취해준다.

  C. 아동이 스스로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해준다.

  D. 아이 엄마에게 아이를 무릎 위에 눕혀서 운반차 위에 비스듬히 기대어 있도록 부탁한다.


수술 전 간호 (Preoperative Care)

 

 

1. 수술 전 대상자의 수술 동의서에 대해 간호사가 설명한 다음 내용 중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A. “수술 동의서는 수술 전 투약 이후 대상자에게 받고 수술 직전에 서명합니다.”

  B. “간호사는 수술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 있습니다.”

  C. “수술 동의서는 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D. “간호사의 서명은 증인으로서 대상자가 수술 과정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2. 다음 중 일반 수술을 위한 통상적인 준비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A. 대상자가 양치를 하고 물을 삼키게 한다.

  B. 대상자가 얼음 조각을 먹어도 된다.

  C. 대상자는 수술 전 12~14시간 동안 금식한다.

  D. 대상자에게 특별히 처방된 약이 있다면 소량의 물과 함께 복용한다.

 

3. 대상자와 수술 형태에 따라 대상자가 착용할 수 있는 물품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의족이나 의수

  B. 콘택트 렌즈

  C. 안경

  D. 보청기

 

4.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경우에 대상자가 수술을 위한 준비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가?

  A. 대상자가 수술 1시간 전에 토스트 한 조각을 먹었다.

  B. 대상자가 수술 2시간 전에 우유를 마셨다.

  C. 대상자가 수술 전 약물을 투여 받기 전에 배뇨했다.

  D. 대상자의 맥박과 혈압을 측정한 결과가 기대되는 결과보다 약간 높다.

 

5. 노인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생리적 변화로 수술 합병증이 나타날 위험이 높은 변화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감소

  B. 촉감 증가

  C. 적혈구 수 증가

  D. 동맥벽(arterial walls)의 강도 감소

 

6. 수술 부위 표식(surgical site marking)에 관련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수술 부위 표식은 멸균 수술포(sterile draping)를 덮은 후에는 보이지 않아도 된다.

  B. 수술 부위 표식은 수술 준비 팀원을 통해 수술실 내에서 확인된다.

  C. 수술 부위 표식과 확인 절차는 간혹 발생하는 잘못된 부위에 수술할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서만 시행된다.

  D. 양측성(laterality)이 있는 부위의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최종 확인은 수술을 시행하는 집도의가 표시한 부위를 포함해야 한다.

 

7. 대상자의 결혼반지를 제거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 대상자의 수술을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반지 주위로 테이프를 단단하게 감아 붙인다.

  B. 반지의 전체 둘레를 모두 감싸도록 테이프를 붙여 준다.

  C. 반지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도구를 사용한다.

  D. 어떤 조치도 필요하지 않다.

 

8. 검사를 위해 수술 전 검체물을 채취하는 경우 다음 중 옳은 내용은 무엇인가?

  A. 검체물을 검사실로 즉시 가져가서 라벨을 기입한다.

  B. 대상자가 있는 곳에서 검체물의 라벨을 기입한다.

  C. 대상자가 수술실로 옮겨질 때까지 수술 전 준비실에서 정확하게 라벨을 기입한 검체물을 보관한다.

  D. 간호사의 판단에 의거하여 적절한 정보를 라벨에 기입한다.

 

9. 대상자가 수술 전 불안함을 호소하고 있다. 대상자의 어떤 징후와 증상을 사정해야 하는가?

  A. 혈압 상승

  B. 심박수 감소

  C. 과다한 침흘림

  D. 건조한 피부와 축 늘어진 자세

 

10. 원위부 동맥벽의 경화가 있는 노인 대상자에게 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하면서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B. 항혈전 스타킹과 연속적 공기압박 장치(sequential compression devices)를 적용한다.

  C. 배뇨를 위해 대상자가 화장실로 가는 것을 돕는다.

  D. 대상자의 전해질 수준을 관찰한다.

수술 전 간호: 심호흡 격려, 횡격막 호흡법, 기침법

 

1. 간호사가 흉부 또는 복부 수술을 한 대상자에게 수술 후 기침법(Controlled coughing)  시행에 대한 교육을 할 때 대상자에게 반드시 교육해야 할 내용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2~3회 기침을 하고 기침 사이에 숨을 들이마신다.

  B. 매일 2회 호흡 운동을 반복한다.

  C. 절개 부위 위에 베개를 놓아 지지해준다.

  D. 횡격막 호흡을 하며 들이마실 때 흉부와 어깨근육을 사용한다.

 

2.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횡격막 호흡법(diaphragmatic breathing) 교육을 준비하고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어떤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는가?

  A. 측위(Side-lying position)

  B. 앙와위(Supine position)

  C. 하이파울러 자세(High-Fowler position)

  D. 트렌델렌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

 

3. 기침법(Controlled coughing) 시행은 다음 중 어느 부위를 수술 받은 대상자에게 금기일 수 있는가?

  A. 복부(Abdomen)

  B. (Eye)

  C. 흉부(Chest)

  D. 골반(Pelvis)

 

4. 횡격막 호흡법(diaphragmatic breathing)을 교육할 때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다음 중 어떤 방법으로 호흡하도록 교육해야 하는가?

  A. 코를 통해 네 번의 빠른 호흡을 한다.

  B. 얕은 호흡을 여러 번 한다.

  C. 입을 통해 빠른 심호흡을 한다.

  D. 코를 통해 천천히 심호흡을 한다.

 

5. 대상자에게 폐 합병증이 발생했는지 사정할 때 간호사는 다음 중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A. 기침 후 대상자의 폐를 청진했을 때 깨끗한 폐음

  B. 대상자가 객담을 배출하는 시간

  C. 객담의 색깔

  D. 대상자가 기침과 심호흡을 하는 사이의 시간 간격

 

6. 호흡 운동의 시범을 보여줄 때 대상자가 손을 어디에 대도록 해야 하는가?

  A. 흉곽 앞쪽 아래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B. 몸의 양 옆을 따라 똑바로 내려가며

  C. 흉곽 확장을 최대화하기 위해 등의 뒤쪽

  D. 흉벽의 상반부를 가로질러 위쪽

 

7.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대상자의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는 중재는 어떤 것인가?

  A. 수술 후 교육 설명서

  B. 수술 직후 시간에 맞추어 바로 교육하는 것

  C. 체계적인 수술 전 교육

  D. 녹음된 수술 전 교육

 

8. 다음 중 수술 후 호흡기계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누구인가?

  A. 편도선 절제술(tonsillectomy)을 받는 6세 아동

  B. 복강경으로 담낭절제술(laparoscopic cholecystectomy)을 받는 73세 여성 노인

  C. L1L2 요추 유합술(lumbar fusion)을 받는 48세 남자

  D. 복강경으로 충수절제술(laparoscopic appendectomy)을 받는 29세 여자

 

9. 심부 기도에서 점액(mucous)을 배출할 필요가 있는 수술 후 대상자를 도와주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잔기침을 하는 것(Clearing the throat)

  B. 한 번의 강한 기침

  C. 빠르고 얕은 호흡

  D. 연속적인 기침

 

10. 횡격막 호흡(diaphragmatic breathing)에 대하여 알려줄 때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가?

  A. 시범을 보여주고 코치를 해주는 것

  B. 설명 후 소책자를 제공하는 것

  C. 그림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것

  D. 소책자를 보여주고 알려주는 것

투약: 피내 주사와 알레르기 피부 반응 검사

 

1. 간호사가 피내 주사를 하고자 할 때, 다음 중 올바른 적응증은 무엇인가?

  A. 통증의 조절

  B. 미세 용량의 인슐린 투여

  C. 알레르기 민감도 검사(allergy sensitivity)

  D. 항 응고 치료(anticoagulant therapy)

 

2. 대상자에게 결핵 선별 검사를 하기 위해, Mantoux 검사를 피내 주사로 시행할 때, 간호사가 바르게 투약한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주사 부위에 작은 멍(bruise)이 생김

  B. 주사 부위에 작은 혈액 방울이 보임

  C. 주사 부위 피부가 매끄럽고 건조함

  D. 주사 부위에 수포가 생김

 

3. 피내 주사 부위의 주변이 부플어 오르고 단단하며, 발적 되어있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A. 피부 반응 검사의 양성반응

  B. 주사 부위의 감염

  C. 부적절한 방법으로 피내 주사를 수행한 결과

  D. 피내 주사의 정상적인 반응

 

4. 결핵 피부 반응 검사(TB skin test)를 위해 피내 주사 시, 간호사가 올바르게 한 것은   무엇인가?

  A. 2.5 cm길이의 바늘을 사용한다.

  B. 약물을 올바른 곳에 투여하기 위해 45도 각도로 주사한다.

  C. 22G needle을 선택한다.

  D. 팔꿈치에서 5~10 cm 아래 전완 내측을 주사 부위로 선택한다.

 

5. 최근에 인도에서 이민 온 대상자가 결핵 검사 결과를 48시간 안에 받았다. 양성으로 판정 지을 수 있는 경화(induration)의 크기는 얼마인가?

  A. 적어도 15 mm

  B. 5 mm 이하

  C. 5~10 mm

  D. 적어도 10 mm

통증 사정과 관리

 

1. 간호사는 6개월 된 영아가 이전 근무 번 동안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약물을 투여 받았고, 지금은 조용하고 차분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통증을 사정을 마무리 하면서   간호사가 해야 할 행동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영아의 통증 강도가 ‘0’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한다.

  B. 아동의 진통제 용량을 즉각적으로 올려줄 것을 의사에게 요청한다.

  C. 부모에게 아동의 통증 강도를 몇 점으로 평가할지 묻는다.

  D. Wong-Baker 안면척도를 사용하여 영아의 통증 강도를 더 사정한다.

 

2. 통증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질문해야 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통증이 어느 부위에 있는지

  B. 통증이 무엇처럼 느껴지는지

  C. 무엇이 통증을 경감/악화 시키는지

  D. 통증이 지속적인지, 간헐적인지, 또는 이 모든 것이 조합된 형태로 나타나는지

 

3. 간호사가 4세 아동의 통증을 사정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Oucher 통증 척도나 Wong-Baker 안면척도를 사용한다.

  B. 아동에게 자신의 통증을 0~10점으로 된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요청한다.

  C. 부모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린다. 왜냐하면 아동은 자신의 통증 사정에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D. 부모가 있을 때는 Oucher 통증 척도를 사용하고, 부모가 없을 때는 Wong-Baker 안면척도를 사용한다.

 

4. 35세 통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또는 옥시코돈

   (oxycodone)을 투여한 후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진통제 종류, 투여경로, 대상자 상태에 따라 약효 발현 시간이 충분히 지난 후에 통증을 재사정한다.

  B. 진통제 투여 직후에 대상자가 일상생활 활동(ADL)에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C. 15분 후에 동일한 통증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통증 강도를 재사정 한다.

  D. 30분 내에 진통제를 재투여 한다.

 

5. Oxycodone 통증 약물을 대상자에게 경구 투여한지 약 1시간 후, 대상자는 통증 강도   목표를 초과하는 통증이 지속된다고 말하였고, 통증이 약물 주입 전보다 더 악화되었다고 언급했다. 간호사가 취해야 할 행동으로 적절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대상자에게 진통제는 보통 약 2 시간 후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고 설명한다.

  B. 대상자에게 약물의 용량을 올리는 것은 중독의 위험이 있음을 설명한다.

  C. 강한 아편 길항제인 Naloxone을 투여한다.

  D. 통증 사정을 마치고 의사에게 알린다.


6. 진통제 부작용에 대해 대상자를 사정할 때,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것을 기억해야 하는가?

  A. 부작용은 약물 투여 시간 간격을 늘림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B. 부작용은 호흡기 억제에 국한된다.

  C. 부작용은 진통제 용량을 늘림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D. 자극성 설사제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부작용이 조절될 수 있다.

 

7. 대상자에게 진통제를 투여하기 전, 간호사는 대상자가 정상 신체선열(normal body alignment)을 유지한 채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간호사가 이와 같은 중재를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A. 약물 투여 후, 대상자는 적어도 4 시간 동안 평평한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B. 몸을 돌리고 자세를 변경하는 것은 통증 경감되는 중재 효과를 최대한 줄인다.

  C. 대상자 자세를 변경하는 것은 약물의 흡수를 증가시킨다.

  D. 몸을 돌리고 자세를 변경하는 것은 통증 및 압력 수용기의 자극을 줄여준다.

 

8. 노인 대상자의 통증 상태를 사정할 때 간호사가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A. 노인 대상자는 만성 통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

  B. 노인 대상자는 통증이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있다.

  C. 노인 대상자는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통증 위험이 적다.

  D. 다양한 다른 문화권의 노인 대상자는 통증을 정확하게 기술할 가능성이 높다.

 

9. 다음 중 암 통증(cancer pain)을 겪고 있는 85세 대상자의 딸이 통증 조절에 대한 간호사의 설명을 올바르게 이해했음을 보여주는 말은 무엇인가?

  A. “우리 엄마의 통증은 엄마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해요.”

  B. “우리 엄마의 통증은 1~10 척도 상 항상 0이어야 해요.”

  C. “통증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을 때 진통제를 투여하여 중독 가능성을 줄여야 해요.”

  D. 우리 엄마가 통증이 있음을 부인할 때에 나는 엄마를 믿고 진통제 투약을 미뤄야 해요.”

 

내시경 치료술 (Endoscopic Therapy)

 

1. 식도위십이지장경술(EGD) 시행 동안 상부 위장관계 출혈이 있던 대상자는 궤양에서 가벼운 삼출물 정도만이 발견되었으나 보상기전에 실패하였다. 활력증후는 불안정해지고 산호포화도가 감소하면서 호흡곤란이 발생하였다. 간호사는 다음 중 무엇을 가장 걱정해야 하는가?

 

  A. 식도/위 천공 또는 흡인

  B. 아나필락시스 또는 경화물질에 대한 과민반응

  C. 발견되지 않은 심각하고 지속적인 위장관계 출혈

  D. 절차 수행 전 사용된 마약성 제제나 진정제에 의한 과도한 진정작용

 

2. 간경화가 있는 대상자가 상부 위장관계 출혈 증상으로 입원하였다. 간호사는 내시경전문가가 식도위십이지장경술(EGD) 절차 수행 동안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비를 준비하고 있다. 간호사가 준비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A.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도 또는 위 정맥류 치료를 위한 내시경적정맥류결찰(EVL)이나 밴드 결찰

  B. 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도 또는 위 정맥류를 치료하기 위한 경화 치료

  C. 상부위장 출혈을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적 시술 기구 (주입식, 결찰식, 기계적 치료)

  D.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출혈을 치료하기 위한 경정맥경유간내문맥전신순환션트(TIPS)

 

3. 식도위십이지장경술(EGD)을 시행하던 중 내시경전문가와 간호사는 대상자의 위에 많은 양의 혈액과 응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의료진이 취해야 할 가장 중요한 중재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침대의 머리를 올리고,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좌측위를 취하도록 해 주며, 호흡기 상태를 감시하고 흡인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B. 자세에 따른 활력징후를 감시하고, 출혈의 영향을 사정하기 위해 헤마토크릿 수치를   확인하며, 수혈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C. 정상 인두 기능으로 회복이 되었는지 사정하고, 대상자가 마지막으로 구강 섭취한 것이 언제인지 사정하며, 완전히 깨어났을 때 맑은 유동식을 시작한다.

  D. 천공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통증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제산제, 히스타민(H2) 차단제, 수쿠랄페이트, 오메프라졸(또는 다른 프로톤 펌프 차단제), 소마토스타틴, 또는 옥트레오타이드 등의 약물을 투여한다.

 

4. 절차 수행 후, 대상자는 구역 반사, 연하 반사, 기침 반사가 완전해질 때까지 어떤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가?

 

  A. 바로 누운 자세

  B. 머리를 들어 올리지 않은 우측위

  C. 머리를 약간 들어올린 좌측위

  D. 머리를 평평하게 한 좌측위

5. 구경이 큰 내시경의 위장관 통과와 관련 있는 내용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미주신경 반응을 차단하고, 느린 심장 리듬장애를 차단한다.

  B. 미주신경 반응을 자극하고 느린 심장 리듬장애를 예상할 수 있다.

  C. 미주신경 반응을 차단하고 느린 심장 리듬장애를 예상할 수 있다.

  D. 미주신경 반응을 자극하고 느린 심장 리듬장애를 차단한다.

 

 

 

산소요법과 산소공급 (Oxygen Therapy and Oxygen Delivery)

 

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병력이 있는 53세 남성 대상자가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을 내원했다. 보호자는 해당 대상자에게 100% 재호흡방지 마스크(Nonrebreathing mask)를 병원에 오기 전에 착용하게 했다. 대상자가 응급실에 도착했을 때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SpO2100%가 될 때까지 산소 유량을 높인다.

  B. 마스크를 2 L/min 비강 캐뉼라(nasal cannula)로 바꾸어 고탄산혈증(hypercapnia)을 방지한다.

  C. 벤튜리 마스크를 착용시키고 산소 유량이 정상 SpO2 수준을 유지하도록 적정한다.

  D. 대상자가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고 느끼면 마스크를 벗는 것을 허용한다.

 

2. 다음 중 대상자가 산소마스크 사용법을 이해한 것을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

  A. “나는 마스크 허탈로 주머니가 들러붙어도 걱정이 안됩니다.”

  B. “나는 음식을 먹을 때만 마스크를 벗을 수 있습니다.”

  C. “내가 산소 유량을 줄인다면 담배를 소지해도 되는 거군요.”

  D. “나는 내가 구토를 할지라도 마스크를 벗지 않습니다.”

 

3. 비강 캐뉼라를 통한 산소 요법의 잠재적인 합병증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냉감각

  B. 질식할 것 같은 느낌

  C. 점막 건조

  D. 흡인(aspiration)

 

4. 2세 아동이 현재 응급실에서 숨쉬기 힘들어하며 적당한 산소 공급을 받고 있다. 아동은 겁을 먹고 엄마를 꼭 붙잡고 있다. 산소요법을 하기 위해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아동의 얼굴 위에 재호흡방지 마스크(Nonrebreather mask)를 단단히 붙잡고, 보관 백(reservoir bag)는 산소를 사전에 채운다.

  B. 산소줄을 묶은 비강 캐뉼라를 어린이의 머리 뒤 둘레에 놓는다.

  C. 산소줄을 장식이 된 음료수 컵 바닥 안으로 넣고 부모가 아동의 얼굴에 있는 장비를  잡아주도록 허용한다.

  D. 아동이 산소 공급 장치를 견딜 수 있도록 진정제를 처방한다.

 

5. 고속으로 달리던 오토바이 사고로 다리 골절이 확실한 외상 대상자와 대화를 하는 동안, SPO291%이고 외관상으로는 호흡하는 데 어려움이 보이지 않는다. 응급실에 도착한  대상자를 간호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호흡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SPO290% 아래로 떨어지면 산소를 공급한다.

  B. 재호흡방지 마스크(nonrebreather mask)를 통해 산소를 공급한다.

  C.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 2 L/min를 공급한다.

  D. 내부 부상과 관련된 호흡 문제를 예상하여 삽관(Intubation)을 준비한다.

결핵 예방 (Tuberculosis Precautions)

 

1. 다음 중 간호사가 결핵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

  A. 이유 없는 체중 감소, 야간 발한, , 그리고 삼출성(productive) 기침

  B. 황달, 야간 발한, 그리고 지속적 열

  C. 최소 38.1℃의 체온, 야간 발한, 강직성 목

  D. 증가된 아밀라아제(amlylase), 오심과 구토, 그리고 삼출성 기침

 

2. 다음 중 결핵이 의심되는 대상자를 간호할 때 간호사가 주의해야 하는 예방책은 무엇인가?

  A. 진단이 확진 될 때까지 접촉 격리 주의를 수행한다.

  B. 병실의 문은 닫은 채로 유지한다.

  C. 방에 들어갈 때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D. 대상자에게 가족이 방문 시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교육한다.

 

3. 결핵 대상자를 병실 밖으로 이동시킬 때 간호사가 주의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대상자에게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

  B. 대상자에게 기침하면서 객담을 뱉을 때 대야(basin)를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C. 잘 맞는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상자에게는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시킨다.

  D. 다른 병동에 대상자가 도착했을 때 그 병동의 모든 사람이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린다.

 

4. 호흡기 마스크가 잘 맞는지 확인 할 때, 간호사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마스크 착용 시 먼저 턱에 밀착시킨 후에 끈으로 적절하게 묶는다.

  B. 마스크를 중앙이 콧대에 맞도록 눌러서 주름이 지게 한다.

  C. 대상자 방에 들어갈 때마다 새로운 마스크를 착용한다.

  D. 대상자의 병실에 머무르는 동안 자주 호흡기 마스크를 재조정한다.

 

5. 간호사가 결핵 격리 방에 들어갈 때 마다 5세 된 소아 대상자가 운다. 간호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절차 설명 시 대상자의 가족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킨다.

  B. 소아 대상자가 간호사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잠시 마스크를 벗는다.

  C. 간호사가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도록 소아 대상자에게 호흡기 마스크를 착용시킨다.

  D. 대상자의 가족에게 소아 대상자가 입원으로 인하여 피로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수술 후 간호: 수술 직후 회복기

(Postoperative Care: Immediate Recovery Period)

 

1. 회복실에 있는 대상자 간호 시, 간호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혈액 순환 상태를 사정한다.

  B. 수술 부위를 확인한다.

  C.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한다.

  D. 대상자가 불편해하는지 확인한다.

 

2. 회복실에 있는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처음으로 사정할 때,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가?

  A. 1~2시간마다

  B. 5~15분마다

  C. 30~60분마다

  D. 2~5분마다

 

3. 척추 마취를 한 대상자가 회복실에 도착했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어떤 자세를 취하도록 해야 하는가?

  A. 머리를 수평으로 한 앙와위

  B. 측위

  C. 세미파울러 자세(Semi-Fowler position)

  D. 트렌델렌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

 

4. 대상자가 회복실에서 병동으로 이동하기 전에 간호사가 대상자의 수술 부위 드레싱에 해야 할 중재는 무엇인가?

  A. 드레싱을 제거한다.

  B. 검정색 펜을 사용하여 드레싱에 배액 부위를 표시한다.

  C. 사인펜(felt-tip marker)을 사용하여 드레싱에 배액 부위를 표시한다.

  D. 대상자를 이동시키기 직전 드레싱을 교환한다.

 

5. 복부 수술을 받은 후, 수술 직후 회복 단계에 있는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간호사가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대상자가 손을 가슴 위로 올린 상태에서 앙와위(supine position)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B. 수분 보충을 시작하기 위해 물이나 주스 몇 모금을 준다.

  C. 종이테이프로 구강 내 기도유지기를 잘 고정시킨다.

  D. 출혈의 징후가 없는지 대상자가 누워 있는 밑 부분을 확인한다.

 

6. 대상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술 후 자세로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인가?

  A. 머리를 수평으로 한 앙와위

  B. 옆으로 누운 자세

  C. 세미파울러 자세(Semi-Fowler position)

  D. 트렌델렌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

 

7. 회복기 동안 대상자의 상처 배액 장치는 밝은 선홍색의 배액물로 채워졌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상처 부위를 자세히 사정하고 배액물의 양을 측정하여 의사에게 보고한다.

  B. 상처 배액 기구를 비우고 배액물의 양을 기록한다.

  C. 대상자를 병동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처 배액 장치를 교체해 준다.

  D. 수술 절개 부위의 드레싱을 보강한다.

 

8. 회복실에 도착한 직후,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체온 39℃, 심박수 130/, 호흡수 22/분으로 측정되었다.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대상자의 체온을 낮추기 위하여 저체온 요법을 위한 담요를 적용한다.

  B. 재삽관을 할 준비를 한다.

  C. 수술 부위의 감염이 있는지 확인한다.

  D. 의사나 마취의에게 즉시 알린다.

 

9. 회복실에 있는 대상자의 수술 부위 압박 드레싱에 적은 양의 배액물이 나와 있고 드레싱의 가장자리가 느슨해져 있다.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드레싱을 제거하고 새로운 압박 드레싱을 적용한다.

  B. 드레싱을 그대로 유지하고 압박 드레싱을 덧대어 강화한다.

  C. 의사에게 알려서 배액 장치를 삽입할 수 있게 한다.

  D. 드레싱을 그대로 유지하고 한 시간 정도 배액 상태를 관찰한다.

 

10. 대상자가 수술 후 깨어나다가 다시 잠이 들고 있다. 깨어나면 음식과 물을 요구하다가 다시 잠에 빠지고 있다.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대상자가 다시 깰 때까지 기다린 후 물을 제공한다.

  B. 대상자가 다시 깰 때까지 기다린 후 맑은 액체 유동식을 준다.

  C. 대상자가 다시 깰 때까지 기다린 후 젖은 솜으로 구강을 닦아준다.

  D. 대상자가 다시 깰 때까지 기다린 후 얼음 조각을 준다.

 

 

 

 

수술 후 간호: 회복기

(Postoperative Care: Convalescent Period)

 

1.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수술 후 호흡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강화 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ry)에 대한 이해를 나타내는 대상자의 진술은 무엇인가?

  A. “강화 폐활량계는 폐 확장을 증진시킵니다.”

  B. “강화 폐활량계는 혈액 응고를 방지합니다.”

  C. “강화 폐활량계는 위장관계 문제를 감소시킵니다.”

  D. “강화 폐활량계는 혈압 저하를 예방합니다.”

 

2. 대상자에게 음식이나 음료를 제공하기 전에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중재를 시행해야 하는가?

  A. 대상자가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동안 혈압을 측정한다.

  B. 대상자가 구강 섭취를 견딜 수 있는 정도를 사정한다.

  C. 대상자가 다리 운동을 하는 것을 관찰한다.

  D. 팽만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치골 상부(suprapubic region)를 촉진한다.

 

3. 6시간 전쯤 수술실에서 돌아온 대상자가 수술 이후 배뇨를 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급한  요의를 호소하지만 침상에 똑바로 누운 자세로 변기를 이용하여 배뇨를 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대상자의 배뇨를 돕기 위해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중재를 시행해야 하는가?

  A. 즉시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시킨다.

  B. 수술 후 최소 24시간 동안 정상적인 배뇨 자세를 취할 수 없음을 설명한다.

  C. 대상자가 침대에서 앉은 자세를 취하거나 의자에 앉아서 배뇨할 수 있도록 돕는다.

  D. 대상자가 배뇨를 할 때까지 침대에서 앉을 수 없음을 설명한다.

 

4. 간호사는 8일 전 복부 수술을 받은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대상자가 보행을 하고 있고 강화 폐활량계 사용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지만 상처 치유는 지연되고 있다. 지연된 상처 치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과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B. 무기폐(Atelectasis)

  C.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 상처 열개(Wound dehiscence)

 

5. 통원 수술 센터에 근무하는 한 간호사가 수술이 예정된 6개월 영아를 돌볼 예정이다. 간호사는 보호자에게 해당 절차와 예상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음 중 보호자에게 말해주어야 할 정보는 무엇인가?

  A. 영아는 반드시 퇴원 전에 배뇨를 해야 한다.

  B. 영아의 연령 때문에 진통제의 용량을 줄여야 한다.

  C. 영아가 회복될 때까지 보호자는 대기실에서 기다려야 한다.

  D. 알레르기의 가족력이 있으면 영아에게 비슷한 반응이 일어날 위험이 높다.

 


6. 대상자가 퇴원할 준비가 되었을 때 수술 후 회복기에서의 중요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대상자가 배뇨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B. 대상자의 장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한다.

  C. 대상자의 퇴원을 준비한다.

  D. 대상자의 재활을 위한 준비를 한다.

 

7. 대상자가 수술 후 배뇨를 하지 못해서 도뇨관이 삽입되었다. 이 도뇨관은 언제 제거되어야 하는가?

  A. 대상자가 침대에서 나올 수 있을 때

  B. 대상자가 집으로 퇴원하기 전

  C. 24시간 내

  D. 48시간 내

 

8. 수술에서 회복하고 있는 대상자가 꼭 필요하지 않다면 진통제를 투여 받지 않겠다고 요청하고 있다. 대상자는 진통제에 중독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가장 적절한 대답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중독의 위험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수술 후 진통제 투여는 상당한 이점이 있고 중독의 위험은 매우 적습니다.”

  B. “중독의 위험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이해합니다. 그래서 심한 통증을 호소할 때에만   아주 적은 양의 진통제를 투여할 것입니다.”

  C. “중독의 위험이 크지만 수술 후 기간 동안 진통제를 투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리고 진통제의 용량을 점점 줄일 수 있습니다.”

  D. “중독의 위험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통증이 있을 때, 통증을 조절하기 위하여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9. 비만인 대상자가 2일 전에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을 받았다. 대상자가 기침을 할 때에 복부 절개 부위에서 터지는 느낌이 든다고 호소한다. 다음 중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할 중재는 무엇인가?

  A. 기침 시 복부 절개 부위를 지지하는 법을 교육한다.

  B. 압박 드레싱을 이용하여 복부 드레싱을 강화한다.

  C. 복부 수술 이후 이런 터지는 느낌은 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D. 즉시 드레싱을 제거하고 상처를 사정한다.

 

10. 대상자가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퇴원할 때, 간호사가 퇴원 교육에 포함시켜야 할 가장 적절한 정보는 무엇인가?

  A. “모든 종류의 고형 음식을 섭취할 수 있기까지는 적어도 며칠이 걸릴 것입니다.”

  B. “음식이나 음료 섭취를 견디기 어렵다면 의사에게 알리시기 바랍니다.”

  C. “2일 후 추후 외래 방문을 할 때까지 상처 드레싱을 그대로 놔두시기 바랍니다.”

  D. “수술 후 첫 48시간 동안의 발열은 정상입니다.”


투약: PCA 관리

(Medication Administration: Patient-Controlled Analgesia)

 

1. 대상자가 결장암(colon cancer) 수술을 위해 개복술이 아침에 진행되었고 지금은 PCA를 맞고 있는 중이다. 대상자의 아내는 간호사에게 남편의 안정을 위해 해줄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반복적으로 묻고 있다. 대상자는 자신의 통증이 10점 만점에 5점이라고 이야기 하였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남편에게 교육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대상자가 잠이 들면 간호사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B. 배우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대상자를 위하여 버튼을 눌러주도록 한다.

  C. 불편함을 느낄 때 버튼을 누르도록 대상자를 격려한다.

  D. PCA가 모르핀의 과용량을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과다 사용에 주의하도록 교육 한다.

 

2. PCA를 아동에게 투여하는 것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부모는 주입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받지 않아야 한다.

  B. 체표면적에 따라 주입용량이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주입할 수 있는 용량이 다양하지 않다.

  C. 청소년은 PCA를 투여 받는 데 적합한 대상자가 아니다.

  D. 아이의 발달 수준, 인지 수준, 그리고 운동 기능을 고려해야 한다.

 

3. PCA를 사용 중인 대상자 사정 요소로서 대상자가 이전에 사용한 성공적인 통증 관리 전략 및 통증의 특징에 대한 사정과 함께 PCA 사용 전에 반드시 사정해야 하는 요소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PCA 용량 버튼을 누를 수 있는 보호자의 능력

  B. 대상자의 인지 상태

  C. 대상자의 매스꺼움 정도

  D. 대상자의 보행 능력

 

4. 수술 후 대상자가 PCA로 치료를 받고 있다. 아편 유사 진통제를 투여 받는 대상자를 간호할 때 고려하여야 할 중요 사항으로 대상자의 진정 정도 사정이 포함된다. 다음 중 대상자의 적절한 진정 정도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기면 상태로 깨기 어렵다.

  B. 자주 졸려하고 대화 중에도 잠이 든다.

  C. 졸리운 상태로 신체적 자극에 반응이 없거나 약하다.

  D. 명료한 각성상태이다.

 

5. 수술 후 대상자가 PCA를 통해 아편유사제를 투여 받고 있다. 다음 중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한 부작용은 무엇인가?

  A. 맥박수 85

  B. 호흡수 8

  C. 호흡수 12

  D. 산소포화도 93%

 

6. 간호사가 수술 후 노인 대상자를 위해 아편유사제 PCA를 시작하려고 한다. 노인 대상자에 대해 다음 중 어떤 사항을 고려해야 하는가?

  A. 노인은 느린 최고 효과시간(peak effect)을 가진다.

  B. 노인은 짧은작용 시간을 가진다.

  C. 노인은 잘 수화(hydrated)되어야 한다.

  D. 노인은 높은 통증 내성을 가진다.

 

7.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PCA 펌프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 다음 중 적절한 PCA 펌프의 사용을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 말은 무엇인가?

  A. 대상자가 통증 불편감을 나타내면 보호자가 PCA 펌프의 용량 조절 버튼을 누를 수 있다.

  B. 오직 대상자만이 PCA 용량 조절 버튼을 누를 수 있다.

  C. 대상자가 통증을 견딜 수 없다고 느낄 때만 PCA 펌프의 용량 조절 버튼을 누를 수 있다.

  D. 간호사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PCA펌프의 버튼을 눌러야 한다.

 

8. 간호사는 고령, 수면 무호흡증, 비만, 첫 아편유사제 사용 등의 위험요소를 가진 대상자들이 PCA펌프를 사용할 때, 대상자를 잘 관찰해야 한다. 다음 중 더 빈번하게 관찰해야 하는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A. 24시간 동안에는 낮에 한 번, 밤에 한 번 대상자를 관찰한다.

  B. 수면 무호흡, 비만, 첫 아편유사제 사용 등의 추가적인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면, PCA 사용 첫 12시간 동안 부작용과 과잉진정의 위험이 가장 높다.

  C. 심박수와 산소포화도의 빈번한 관찰은 PCA를 사용하는 대상자를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

  D. 더 빈번한 관찰은 대상자의 과량투여를 방지하는 데 필요하다.

 

9. PCA펌프에 사용하는 아편유도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아편유사제의 심각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가려움(Itching)

  B. 오심(Nausea)

  C. 호흡곤란(Dyspnea)

  D. 과호흡(Hyperventilation)

 

10. PCA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 약물 안전(Medication safety)을 고려해야 한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기구를 세팅할 때 간호사는 많은 절차를 완수해야 한다. 다음 중 어떤 절차가 올바른 용량을 확실히 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

  A. 약물 투약 전에 대상자에게 이름이 무엇인지 물어본다.

  B. 약물 안전의 5가지 원칙을 이행한다.

  C. PCA가 올바로 입력되었는지 2명의 간호사가 함께 확인한다.

  D. 투약 세트를 연결하기 전에 PCA 튜브의 Y 포트를 소독한다.

 

 


위장관 출혈 시 위 세척

(Gastric Lavage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1. 위장관 출혈로 위세척을 받아야 하는 대상자에게 구개반사가 없다. 다음 중 간호사가 수행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간호는 무엇인가?

  A. 절차를 시작하기 전에 기관 삽관을 고려한다.

  B. 대상자가 튜브를 무는 것을 막기 위해 구강 인공기도airway)를 넣어둔다.

  C. 구토가 있다면 대상자를 기관 삽관을 위해 준비시킨다.

  D. 대상자를 오른쪽 측위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2. 기관 삽관 된 대상자의 세척 절차 동안에, 환자의 혈압이 떨어지고 간호사는 중심 맥박을 촉진할 수 없다. 이 대상자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심장 압박을 시작한다.

  B. 정맥 라인을 확보한다.

  C. 즉시 대상자를 위내시경실로 이송한다.

  D. 따뜻한 등장성 식염수를 걸어둔다.

 

3. 위출혈이 있는 대상자에게 위세척 시 얼린 수돗물 대신에 실온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는지 간호 보조자가 물었다. 가장 적절한 답은 무엇인가?

  A. 얼린 수돗물은 염산 생산을 멈추게 하여 출혈을 촉진시킨다.

  B. 위세척을 위해서는 멸균 용액이 필요하다.

  C. 수돗물은 위 자극과 출혈을 촉진시킨다.

  D. 생리식염수가 얼린 용액만큼 위를 세척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잠재적인 부작용이 없다.

 

4. 간호사는 β-Blocker를 복용하는 노인대상자가 위세척을 받을 때 특히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이유는 무엇인가?

  A. 저혈량증의 증후를 감출 수 있기 때문에

  B. 저혈량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C. 대상자의 염산의 생산을 방해하기 때문에

  D. 산염기 불균형을 야기하기 때문에

 

5. 의사가 세척 절차 후 가슴 방사선 촬영을 지시하는 것은 무엇을 배제하기 위함인가?

  A. 내장 천공

  B. 장 천공

  C. 폐렴 구균성 폐렴

  D. 흡인


6. 대상자가 혈액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라면, 간호사는 비위관 세척액이 어떻게 될 때까지 계속 세척해야 하는가?

  A. 커피색

  B. 무색

  C. 밝은 적색

  D. 암 적색

복부 천자술(Paracentesis)

 

1. 천자술을 도울 때, 간호사가 준비해야 할 것으로 옳은 것은?

  A. 뚫개(트로카, trocar) 삽입으로 인한 잠재적인 감염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항생제 준비

  B. 과도한 체액 또는 용적 소실로 인한 혈역학 불안정을 교정할 수 있는 수액이나 알부민 주입 준비

  C. 혈성 체액이 배출되나 특별한 처치나 준비가 필요하지 않음

  D. 대량 천자로 인한 의원성(iatrogenic) 방광 천공에 대한 처치

 

2. 천자술 동안 배출액이 혼탁하고 악취가 난다. 간호사는 다음 중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액체가 깨끗해질 때까지 생리식염수를 가지고 카테터를 세척한다.

  B. 대상자에게 장 천공의 징후가 있는지 사정한다.

  C. 정상적인 결과이기 때문에 절차를 계속 수행한다.

  D. 액체를 배양과 백혈구 검사를 위해 검사실로 보내야 할 것을 예상한다. 만약 대상자가 감염에 대한 다른 임상적 징후를 가지고 있다면 광범위항생제가 처방될 수도 있다.

 

3. 천자술이 절대적 금기인 대상자는 다음 중 누구인가?

  A.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대상자

  B. 임신 첫 3주에 해당하는 대상자

  C. 심각한 장 팽만증이 있는 대상자

  D. 급성 복부질환이 있는 대상자

 

4. 좌하복부에 복막투석 카테터를 가지고 있고, 복부 한중간에 절개부위가 있는 대상자에게 천자술이 진행 중이다. 우하복부가 뚫개(트로카, trocar) 삽입을 위한 부위로 결정되었다. 간호사가 알아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A. 우하복부는 천자술에 선호되는 부위이지만, 대상자에게 과도한 체액 소실의 지표가 될 수 있는 활력징후의 변화가 있는지 주의해야 한다.

  B. 천자술 시행동안 장 천공은 카테터가 우하복부에 삽입될 때 좀 더 자주 발생한다; 간호사는 장 천공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복부 팽만과 통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C. 천자술 시행 동안 장 천공은 카테터가 우하복부에 삽입될 때 좀 더 자주 발생한다; 간호사는 장 천공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과도한 혈액 상실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D. 뚫개(트로카, trocar)가 우상복부 또는 좌상복부에 삽입될 때 합병증은 거의 없다.

 

5. 천자술 시행을 도울 때, 간호사가 사정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A. 과도한 체액 이동 또는 출혈로 인한 혈역학 불안정을 발견하기 위해 자주 활력징후를 감시한다.

  B. 기침 반사 손상으로 인한 분비물의 정체를 발견하기 위해 호흡기 상태를 사정한다.

  C. 장 천공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장음의 증가가 보이는지 감시한다.

  D. 장 천공과 관련이 있는 소변양 감소에 대해 사정한다.

장루 주머니 관리: 결장루 및 회장루

(Ostomy Pouching: Colostomy or Ileostomy)

 

1. 간호사가 주머니를 교환하는 동안에 대상자의 결장루(colostomy) 부위를 사정하고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장루 점막을 문질렀을 때 약간 출혈이 있으며, 붉은 분홍색으로 습기가 있는 것을 관찰했다.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주머니를 다시 착용하고 장루 부위의 출혈에 대해 의사에게 보고한다.

  B. 장루의 발적으로 인해 주머니를 벗겨두어야 한다.

  C. 장루의 정상적인 사정 결과이기 때문에 주머니 교환을 마무리한다.

  D. 즉시 의사에게 전화하여 장루 부위의 출혈에 대하여 보고한다.

 

2. 수술 후 처음으로 장루 주머니를 착용하고 온 대상자의 수술 후 간호 사정을 하고 있다. 다음 중 주머니를 다시 착용해야 하는 경우는 무엇인가?

  A. 깨끗한 주머니가 처음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B. 일체형 주머니가 처음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C. 장루 점막에서 약간의 출혈이 있는 경우

  D. 장루가 수축되어 있는 경우

 

3. 간호사가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의 결장루 간호를 준비하고 있다. 2일 전에 분리형 주머니로 바꾸었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장루 주머니 밑 부분을 잠그고 주머니를 비운 후에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피부보호판에 주머니를 다시 붙인다.

  B. 2일이 지났으므로 주머니를 교체한다.

  C. 주머니에 가정용 방취제를 뿌린다.

  D. 주머니의 끝부분을 막기 위해 클립으로 고정한다.

 

4. 수술 후 3일 째 되는 날, 간호사는 대상자의 주머니가 지속적으로 편평하고 깨끗한 것을 관찰했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복부를 청진한 결과, 간헐적으로 장음이 들렸다. 간호사가  공기가 찬 주머니와 간헐적인 장음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A.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수분 섭취를 늘릴 필요가 있다.

  B. 연동 운동(peristalsis)을 늘리기 위해 개구부를 세척할 필요가 있다.

  C. 대상자의 장 기능이 돌아오고 있다는 것이다.

  D. 대상자에게 배변 완화제(laxative)가 필요할 수도 있다.

 

5. 대상자의 회장루 주머니(ileostomy pouch)를 비울 때, 간호사는 피부보호판 주변이 발적 되어 있고 자극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분리형 주머니(two-piece appliance)에서 일체형 주머니(one-piece appliance)로 교체한다.

  B. 배설물이 피부로 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부보호판을 사정한다.

  C. 피부 보호막을 테이프로 덧붙인다.

  D. 대상자에게 주머니 벨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6. 련된 간호사가 간호 학생에게 장루 주머니(ostomy pouches)를 비우는 것에 대하여 교육 중이다. 음 중 간호 학생이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고 보여주는 말은 어떤 것인가?

  A. “주머니가 1/3~1/2 정도 찼을 때 비워야 합니다.”

  B. “주머니가 가득 찼을 때 비워야 합니다.”

  C. 머리부터 발끝까지 사정(head-to-toe assessment) 할 때마다 주머니를 비워야 합니다.”

  D. “주머니가 1/2~2/3 정도 찼을 때 비워야 합니다.”

 

7. 간호사가 대상자의 장루 부착 장치(ostomy appliance)를 교체하고 있다. 피부 보호판(skin barrier)을 제거한 후, 간호사가 다음으로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가?

  A. 피부보호판(skin wafer) 뒷면의 보호막을 제거한다.

  B. 장루 주위에 장루 연고(ostomy paste)를 얇게 펴 바른다.

  C. 따뜻한 물로 장루 주위를 닦는다.

  D. 장루(stoma) 크기에 맞게 피부보호판(skin wafer)을 자른다.

 

8. 숙련된 간호사가 장루 부착 장치(ostomy appliance)를 교체하면서 신규 간호사에게 장루 주변 피부 간호에 대하여 교육하고 있다. 다음 중 신규 간호사가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말은 무엇인가?

  A. “클로르헥시딘 스크럽제(chlorhexidine scrub)로 개구부 주위를 문질러야 합니다.”

  B. “따뜻한 물로 개구부 주위를 부드럽게 닦고 가볍게 두드려 건조시켜야 합니다.”

  C. “비누와 물로 개구부 주위를 부드럽게 닦고 가볍게 두드려 건조시켜야 합니다.”

  D. “따뜻한 물로 개구부 주위를 문지르고 공기 중에 자연 건조시켜야 합니다.”

 

9. 호사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결장루(colostomy)에 대한 피부보호판(skin wafer)을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 하는가?

  A. 매일

  B. 주머니가 1/3~1/2 정도 찼을 때

  C. 3∼5일마다

  D. 3∼7일마다

 

10. 간호사가 장루 함몰(retracted stoma)이 있는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다음 중 이러한 유형의 대상자에게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A. 일체형 시스템

  B. 볼록형 보호판(convex wafer)과 장루 벨트(ostomy belt)

  C. 개구부가 표준 크기로 미리 절단되어 있는 형태(precut opening)의 분리형 시스템

  D.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보호판의 개구부를 잘라서 사용하는 형태(cut-to-fit opening)의 분리형 시스템

흉강천자(Thoracentesis)

 

1. 장비대증의 병력이 있는 대상자를 사정하는 과정에서 대상자의 왼쪽 호흡음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가슴의 왼쪽부위 타진 시 둔탁음, 호흡곤란, 산소포화도 저하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임상적 소견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A. 초음파 유도 하의 흉강천자가 요구되는 왼쪽으로 종격동 변위가 있는 오른쪽의 가슴막 삼출

  B. 진단적 흉강천자 후, 흉관 삽입이 요구되는 왼쪽 부위의 가슴막 삼출

  C. 즉각적인 바늘 흉강천가가 요구되는 오른쪽 부위의 긴장성 기흉

  D. 초음파 유도 하의 흉강천자가 요구되는 왼쪽 부위의 가슴막 상출

 

2. 의식이 명료하며 움직일 수 있는 대상자의 치료적 흉강천자를 준비할 때 간호사가 취해야 하는 가장 적절한 행동은 무엇인가?

  A. 대상자에게 침대 가장자리에 앉도록 한 다음, 높이 올린 침상 옆 테이블 위에 준비된 베개 위에 팔을 올리도록 한다.

  B. 침대 머리를 올리고 대상자가 침대에서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C. 대상자를 엎드린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손상부위의 팔을 머리위로 올리도록 한다.

  D. 대상자를 침대 가장자리에 손상 받지 않은 부위를 대고 눕게 하고 손상부위의 팔을 머리 위로 올린다.

 

3. 대상자가 흉강천자 후에 저혈량증과 저산소혈증의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흉부 방사선 사진 촬영 결과 기흉(pneumothorax)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임상적 증상과 증후의 가장 적절한 원인은 무엇인가?

  A. 시술에 의해 발생된 혈흉(hemothorax) 때문이다

  B. 한번에 1500mL 이상의 가슴막삼출액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C. 시술 후에 폐가 재팽창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D. 시술 후 부적절한 부위에 가해진 안력으로 인하여 배액이 증가하였다.

 

4. 심장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있는 대상자가 방사선 검사 상 가슴의 오른쪽 부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가슴막삼출액이 발견되었다. 대상자의 임상적 상태에는 변화가 없다. 의료진이 진단적 흉강천자를 시행하였으나 결정적인 결과는 찾을 수 없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가슴막삼출의 원인을 찾기 위해 진단적 흉강천자를 반복한다.

  B. 더 많은 검체 수집을 하기 위해 더 굵은 바늘로 진단적 흉강천자를 반복한다.

  C. 치료적 흉강천자를 수행하고 삼출액을 배액 하기 위해 흉관을 삽입한다.

  D. 오른쪽 부위에 흉관을 삽입하고 삼출액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를 시작한다.

5. 가슴의 오른쪽 부위에 가슴막삼출액이 있는 것으로 진단받은 의식이 있고 움직일 수 있는 대상자가 현재 호흡곤란, 오른쪽 부위의 호흡음의 소실, 산소포화도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흉강천자를 도운 후에 즉시 기관내삽관을 하고, 우측 부위에 흉관을 삽입한다.

  B. 대상자를 침대 가장자리에 앉힌 다음, 산소를 공급하고 치료적 흉강천자를 준비한다.

  C. 자가 팽창 소생 주머니를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치료적 흉강천자를 준비한다.

  D. 산소를 제공하고 대상자를 손상 받은 부위를 위로 오게 옆으로 눕힌 다음 치료적 흉강천자를 준비한다.

 

6. 흉강천자를 받은 대상자의 삼출액 검사 결과 LDH 0.7IU/mL, protein 0.8g/dL으로 나타났다. 삼출액은 화농성이다. 대상자는 열이 있으며 백혈구 수가 상승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떠한 대상자가 어떠한 상태라는 것을 시사하는가?

  A. 감염과 관련된 삼출성 가슴막삼출액이 있다.

  B. 심부전과 관련된 여출성 가슴막삼출액이 있다.

  C. 폐색전증과 관련된 삼출성 가슴막삼출액이 있다.

  D. 임파선 장애와 관련된 암죽가슴(유미흉, chylothorax)이 있다.

흉관 삽입(Chest Tube Insertion)

 

1. 사고로 자동차 핸들에 가슴을 부딪혀서 흉부 손상을 입은 대상자가 삽관을 하는 중에 갑자기 저혈압을 보이면서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다. 청진 시 우측 호흡음은 소실, 좌측 호흡음은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기관 편위(tracheal deviation)가 좌측으로 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기관 내관(endotracheal tube)을 교체하기 위해 의사와 상의한다.

  B. 흉부 방사선 촬영 지시를 받고 흉관 삽입 준비를 한다.

  C.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xygen)를 높이기 위해 호흡 치료사와 상의한다.

  D. 수액, 혈액 제제, 혈압상승제(vasopressors)의 처방을 받는다.

 

2.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으로 중심정맥로 장치(central access device)를 삽입하는 동안, 대상자가 매우 불안해하면서 산소포화도가 떨어졌다. 흉부 청진을 통해 간호사는 우측 호흡음이 감소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가장 가능성 높은 원인은 무엇인가?

  A. 우측 개방성 기흉(Right-sided open pneumothorax)

  B. 우측 폐쇄성 기흉(Right-sided closed pneumothorax)

  C. 좌측 혈흉(Left-sided hemothorax)

  D. 우측 흉막삼출물(Right-sided pleural effusion)

 

3. 3등급의 간 열상(grade 3 liver laceration)을 가진 대상자가 체액보충(fluid

   resuscitation)을 했음에도 저혈압과 저혈량 상태이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왼쪽에 심각한 혈흉(massive hemothorax)을 보인다. 혈액검사에서는 INR 3.5, Hematocrit 19% 이다.  다음 중 적절한 조치는 무엇인가?

  A. 지속적으로 소생술(resuscitation)을 시행하고 몇 시간 후에 흉부 방사선 검사로 경과를 확인한다.

  B. 높은 INR 수치는 흉관(Chest tube) 삽입이 금기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생술(resuscitation)을 시행한다.

  C. 왼쪽에 흉관(Chest tube)을 삽입하여 혈흉(hemothorax)을 배액하고 폐확장을 돕는다.

  D. 2번째 늑간과 좌측 중심 쇄골선(left midclavicular line)이 만나는 지점에 배액 역류방지 밸브(flutter valve)을 삽입하여 즉시 폐를 확장시킨다.

 

4. 기흉(pneumothorax)이 있는 대상자의 배액병(chest tube drainage system)을 사정하던 중, 간호사는 밀봉병(water-seal chamber)에서 호흡 시 물기둥의 높이가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가장 적절한 중재는 무엇인가?

  A. 배액병에서 공기가 누출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흉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개방성(patency)을 확인한다.

  B. 폐의 재팽창을 돕기 위해 배액병에서 흡인(suction)을 더한다.

  C. 의사와 상의하여 새 흉관을 삽입할 준비를 한다.

  D. 호흡 시 움직임(fluctuation)의 변화를 기록하고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결과라고 기록한다.

 

 

 

5. 기흉(pneumothorax) 때문에 흉관을 삽입하여 배액하고 있는 대상자가 호흡 시 삽입된  부위에서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배액관에서 배액물이 흘러나오지 않고 물기둥의 움직임이 멈췄음을 간호사가 관찰하였다. 간호사는 배액병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나 문제 원인을 찾지 못했다. 다음 중 간호사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발견한 내용을 기록한다.

  B.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xygen)를 올린다.

  C. 진통제를 투여한다.

  D. 의사에게 알린다.

 

6. 교통사고 후 가슴에 둔탁한 외상을 입은 환자가 응급실에 실려왔다. 혈흉(hemothorax)을 치료하기 위해 흉관이 준비되었다. 간호사는 대상자를 어떤 자세로 취해야 하는가?

  A. 세미 파울러 자세(Semi-Fowler position)

  B. 옆으로 누운 자세(Lateral supine position)

  C. 엎드린 자세(Prone position)

  D. 트렌델렌버그 자세(Trendelenburg position)

 

7. 간호사가 흉관 삽입 시술을 보조하고 있다. 간호사가 병실에 들어가 손위생을 실시한 후에 다음으로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멸균 영역에서 의사를 돕는다.

  B. 대상자가 치료에 동의하는지 확인한다.

  C. 대상자에게 시술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D. 이름과 등록 번호(two identifiers)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8. 의사가 대상자에게 직경이 큰 흉관(chest tube)을 삽입했다. 흉관이 제자리에 봉합된 후에 그 부위를 다음 중 어떤 것으로 덮어야 하는가?

  A. 거즈드레싱(Gauze dressing)

  B. 개방드레싱(Breathable dressing)

  C. 폐쇄드레싱(Occlusive dressing)

  D. 항균 연고(Antibacterial ointment)

 

9. 흉관(chest tube)을 흉막강으로 삽입하는 것을 간호사가 돕고 있다. 흉관 삽입 후에 배액병에서 물기둥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을 관찰했다. 간호사는 의사가 다음 중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는가?

  A. 흉관을 더 삽입한다.

  B. 흉관을 몇 cm 빼낸다.

  C. 흉관을 제거한다.

  D. 흉관을 흉벽에 봉합하여 고정시킨다.

 

10. 흉관 삽입을 하는 생리학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A. 흉막강(pleural space)의 양압 회복

  B. 폐포(lung alveoli)의 양압 회복

  C. 흉막강(pleural space)의 음압 회복

  D. 폐포(lung alveoli)의 음압 회복

흉관: 폐쇄형 배액 체계

(Chest Tube: Closed Drainage Systems)

 

1. 대상자의 흉관 배액을 사정하는 동안 간호사가 배액병 내에 균열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해야 할 가장 적절한 간호 중재는 무엇인가?

  A. 호흡음을 사정하고 청진한다. 새로운 배액 체계를 준비하고 흉관을 잠시 교차 잠금(cross-clamp)하여 새로운 체계를 연결한 후에 클램프의 잠금을 푼다.

  B. 호흡음을 사정하고 청진한다. 밀봉병(water-seal chamber) 내에 물의 높이를 올리고 균열을 보완하기 위해 흡인 수준을 증가시킨다.

  C. 흉관을 교차 잠금하고 호흡음을 사정한 후 청진한다. 미세 구멍이 없는 테이프로 균열을 메우고 흉관 조절기의 잠금을 푼다.

  D. 호흡음을 사정하고 청진한다. 흉관을 교차 잠금하고 새로운 배액 체계를 준비한다. 새로운 배액 체계를 연결한 후에 클램프의 잠금을 푼다.

 

2. 흉관 배액을 사정하는 동안 간호사가 이전의 기록에 없었던 공기 누출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해야 할 가장 적절한 간호 중재는 무엇인가?

  A. 공기 누출을 해결하기 위해 2시간 동안 흉관을 잠가 놓는다.

  B. 배액 체계의 교체를 준비하는 30분 동안 흉관을 잠가 놓는다.

  C. 공기가 새는 원인이 되는 지점을 찾기 위해 잠시 흉관을 잠가 놓는다.

  D. 흉관 제거를 준비하기 위해 1시간 동안 흉관을 잠가 놓는다.

 

3. CDS를 가진 대상자를 옮기려고 준비할 때에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이동 중에는 배액 체계를 흉관에서 분리하고 흉관을 잠가야 한다.

  B. 대상자의 침대 위에 똑바로 세워 두워야 한다.

  C. 흉관 삽입 부위에서 적어도 30 cm아래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한다.

  D. 배액 체계를 흡인기에서 분리하고 흡인 튜브를 잠가야 한다.

 

4. CDS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공기 누출이 있는지 확인하면서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기침을 할 때 밀봉병 안에서 거품이 발생하였다. 이는 다음 중 어떤 상황을 나타내는 것인가?

  A. 대상자의 폐에 간헐적인 공기 누출이 있다.

  B. CDS에 공기 누출이 있다.

  C. 대상자의 폐와 CDS 모두에 공기 누출이 있다.

  D. 정상적인 소견이다.

 

5.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하고 난 후, 간호사는 CDS에 갑작스러운 검붉은 배액물이 나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대상자를 사정해보니 대상자의 호흡기 상태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다음 중 어떤 상황을 나타내는 것인가?

  A. CDS에서의 갑작스러운 압력 증가

  B. 대상자 상태의 급격한 변화

  C. 체위를 변경하는 동안 배출된 오래된 흉막 내 혈액

  D. 대상자의 흉부에서 새롭게 발생한 심각한 출혈

6. CDS가 있는 대상자가 불안해하며 자세를 자주 바꾸고 있다. 그 결과 흉부 배액 튜브에 여러 개의 고리 모양이 형성되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행동은 무엇인가?

  A. -30 cmH2O까지 흡인을 증가시킨다.

  B. 튜브를 자주 손으로 조작하여 배액시킨다.

  C. 고리 모양의 튜브에 모인 체액을 흡인한다.

  D. 흉관을 방해하면 안 되므로 튜브를 그대로 둔다.

 

7. 간호사가 CDS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대상자의 배액량은 지난 몇 시간 동안 50 mL 미만이었다. 최근 1시간 동안의 배액량을 확인할 때 간호사는 300 mL의 검붉은 체액을 관찰하였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행동은 무엇인가?

  A. 다음 몇 시간 동안 배액량을 계속 관찰한다.

  B. 의사에게 배액량에 대해 보고한다.

  C. 배액량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대상자를 반대쪽으로 돌린다.

  D. 더 이상의 배액을 막기 위해 대상자와 가까운 쪽 튜브를 클램프로 잠근다.

 

8. 간호사는 대상자가 86%의 산소포화도에 극심한 호흡곤란을 겪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간호사는 흉관 사정을 통해 CDS 체계의 밀봉병에 균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간호사가 가장 처음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고 흉관을 클램프로 잠근다.

  B. 테이프로 CDS의 균열을 막고 필요하다면 물을 더 추가한다.

  C. 즉시 흉관을 제거하고 그 부위에 멸균 드레싱을 덮는다.

  D. 한 컵의 멸균 증류수에 튜브의 끝을 담근다.

 

9. 간호사는 대상자의 흉관 배액이 지난 2시간 동안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확인 결과 간호사는 튜브에 큰 혈전(clot)을 발견하였다.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혈전을 수집병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지 보기 위해 CDS 튜브를 조작한다.

  B. 혈전을 튜브 아래 수집병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CDS 튜브를 훑는다(strip).

  C.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CDS를 올렸다 내렸다 하며 튜브 아래로 이동시킨다.

  D. 주사기에 바늘을 끼워 튜브에 바늘을 삽입하여 혈전의 흡인을 시도한다.

 

10. 대상자가 흉막삼출(pleural effusion)로 흉관 삽관 후 자세를 취하고 있다.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장갑, 가운, 마스크, 보안경을 착용한다.

  B. 스탑콕(stopcock)을 닫힘 위치로 돌린다.

  C. 튜브가 고리 형태로 꼬이지 않게 한다.

  D. 흡인압이 -5 cmH2O를 초과하지 않게 한다.

호흡곤란 대상자를 위한 자세

(Dyspnea: Positioning the Patient)

 

1. 호흡부전이 있는 어린이가 엄마 무릎 위에 앉아 있다. 근거에 기반한 간호중재를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세가 다음 중 어떤 사항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하는가?

  A. 지나친 불안감을 야기시킨다.

  B. 어린이의 숨쉬기를 용이하게 한다.

  C. 절차를 방해한다.

  D. 부모에게 스트레스가 된다.

 

2. 간호사가 호흡이 곤란한 대상자에게 좌위 체위를 취해주어야 하는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A. 호흡 부전이 있을 경우

  B. 기도가 폐쇄되었을 경우

  C. 혈역동학적인 불가능의 경우

  D. 반응이 없을 경우

 

3. 좌위 체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무릎 gatch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B. 편안하게 속옷을 벗겨 안전하게 한다.

  C. 발판을 대상자의 발에 대어 지지한다.

  D. 대상자의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침상의 난간을 올린다.

 

4. COPD 대상자가 삼각대 자세를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A. 대상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B. 대상자를 똑바로 앉아 있도록 격려한다.

  C. 대상자의 발이 매달리도록 하지 않는다.

  D. 무릎 수준으로 침대 위치를 더 낮춘다.

 

5. 생후 3개월 된 신생아가 보통의 호흡부전 상태로 응급실로 왔다. 부모가 함께 오지 못하였다. 간호사는 이 신생아에게 어떤 자세를 취해줘야 하는가?

  A. 앙와위

  B. 좌위 체위

  C. 삼각대 체위

  D. 베개로 지지한다.

멸균 가운과 장갑(폐쇄형 장갑 착용법)

(Sterile Gown and Gloves (Closed Gloving))

 

1. 소독 간호사가 멸균 가운을 입을 때, 가운의 등 쪽은 어떤 상태로 간주해야 하는가?

  A. 비멸균 상태

  B. 팔꿈치 5 cm 위부터 멸균 상태

  C. 테이블 높이부터 멸균 상태

  D. 허리 위쪽으로 멸균 상태

 

2. 소독 간호사가 장갑과 가운을 폐쇄형 장갑 착용법(closed-glove method)으로 착용하고 수술 중, 한쪽 장갑이 오염되었다. 다음 중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소독 간호사는 오염된 장갑을 벗어야 한다.

  B. 소독 간호사는 장갑과 가운을 다시 착용해야 한다.

  C. 멸균 영역에 있는 다른 팀원이 오염된 장갑을 벗겨주어야 한다.

  D. 순환 간호사가 오염된 장갑을 벗겨주어야 한다.

 

3. 소독 간호사가 폐쇄형 장갑 착용법(closed-glove method)으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하고, 양쪽 장갑이 수술 중 오염되었다면 다음 중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A. 멸균 영역에 있는 다른 팀원이 오염된 양쪽 장갑을 벗겨야 한다.

  B. 소독 간호사는 장갑과 가운을 다시 착용해야 한다.

  C. 멸균 영역에 있는 다른 팀원이 장갑 재 착용을 도와야 한다.

  D. 순환 간호사가 오염된 양쪽 장갑을 벗겨야 한다.

 

4. 소독 간호사는 멸균 가운을 착용할 때, 양손을 소매 속으로 동시에 넣고, 양손은 소매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 단계로 해야 할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소독 간호사가 감싸져 있는 손으로 가운 어깨를 조정한다.

  B. 순환 간호사가 어깨에 걸쳐져 있는 가운을 잡아당긴다.

  C. 멸균 영역에 있는 다른 팀원이 어깨에 걸쳐져 있는 가운을 잡아당긴다.

  D. 소독 간호사는 어깨를 으쓱거려 가운이 제자리에 오게 한다.

 

5. 수술에 들어가기 위해 외과적 손씻기(surgical scrub)를 시행한 후 소독 간호사가 멸균 가운을 착용하였다. 다음 단계로 간호사가 해야 할 일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착용 전 가운을 신체 가까이에서 잡는다.

  B. 멸균 가운 팩을 연다.

  C. 멸균 영역에 가능한 가까이 선다.

  D. 장갑 착용 전까지 양손은 소매 안쪽에 있도록 한다.

 

6. 수술 복장의 멸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A. 소독 간호사

  B. 순환 간호사

  C. 모든 수술 팀원들

  D. 마취과

7. 멸균 영역을 준비할 때 올바른 행동을 취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모든 포장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B. 가운을 폈을 때 멸균 가운을 신체에 가까이 유지한다.

  C. 작업대에 가까이 유지하면서 멸균 가운을 작업대에서 들어올린다.

  D. 멸균 가운의 소매와 커프를 통해 손이 나오는 것을 확인한다.

 

8. 외과적 손씻기(surgical hand scrub) 시행 후 소독 간호사가 다음 단계에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A. 멸균 장갑을 착용한다.

  B. 멸균 가운을 착용한다.

  C. 대상자나 다른 수술준비 구성원들에게 라텍스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D. 멸균 수술도구가 있는 작업대에서 떨어져 가운과 장갑 포장을 개봉한다.

 

9.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손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멸균 영역에서 장갑을 끼지 않은 손은 멸균된 것으로 간주한다.

  B. 장갑을 끼지 않은 손으로 멸균 가운 바깥쪽의 목 부위를 잡아야 한다.

  C. 장갑을 끼지 않은 손으로 멸균 가운의 안쪽 면을 만져서는 안 된다.

  D. 장갑을 끼지 않은 손은 멸균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10. 폐쇄형 장갑 착용법(closed-glove method)으로 장갑을 착용한 후에 마지막에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A. 양 손 손가락들이 장갑 안에 잘 들어갔는지 확인한다.

  B. 장갑에 손상된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C. 소매 안에 양 손이 있는지 확인한다.

  D. 주로 사용하는 쪽 장갑의 접힌 커프 잡는다.

격리 지침: 보호 장구

(Isolation Precaution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1. 폐결핵 대상자의 간호를 준비할 때, 간호사는 다음 중 어떤 감염 예방 지침을 따라야 하는가?

  A. 표준지침(Standard precautions)과 공기 매개 주의 (Airborne precautions)

  B. 비말 전파 주의(Droplet precautions)

  C. 상처 주의(Wound precautions)와 표준지침(Standard precautions)

  D. 접촉 주의(Contact precautions)

 

2. 클로스트리듐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ie) 감염이 있는 대상자의 병실에 들어가기 위해 준비할 때, 간호사는 접촉 주의(Contact precautions)로 다음 중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가?

  A. 음압 격리 병실(negative-airflow room)

  B. 장갑만 착용

  C. 마스크와 호흡기(respirator)

  D. 가운과 장갑

 

3. 대상자의 격리 병실에서 보호 장구를 제거한 후, 다음 중 어떤 것으로 소독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A. 깨끗한 천

  B. 과산화수소수(Hydrogen peroxide)

  C. 각 의료기관에서 승인한 소독제

  D. 베타딘 용액(Povidone-iodine)

 

4. 대상자의 병실을 나올 때, 교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회용 격리 가운을 벗는 순서로 알맞은 것은 어느 것인가?

  A. 장갑, 마스크, 보안경, 가운

  B. 가운, 장갑, 마스크, 보안경

  C. 가운과 장갑, 보호경, 마스크 또는 호흡기

  D. 가운, 보안경, 마스크, 장갑

 

5. 간호사로서 모든 대상자에게 표준지침(standard precautions)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간호 수행 동안 장갑 착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시기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A. 활력징후를 기록할 때

  B. 대상자의 약물을 준비할 때

  C. 대상자에게 식사 식판을 제공할 때

  D. 혈액, 체액 혹은 점막을 만질 때


6.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주사를 놓을 준비를 하고 있다. 다음 중 수행 전 장갑을 착용하는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A. 장갑은 미생물 전파를 최소화한다.

  B. 장갑은 혈액 노출 위험을 줄이는 보호 장구 역할을 한다.

  C. 장갑은 주사 바늘 찔림 사고의 위험을 줄인다.

  D. 장갑은 대상자를 보호한다.

 

7. 간호사가 격리된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다음 중 대상자의 병실에서 이중 포장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A. 혈액 검체물

  B. 오염된 드레싱

  C. 사용한 주사기

  D. 과도하게 더러워진 이불

중심정맥영양(Central Parenteral Nutrition)

 

1. (lipids)과 함께 중심정맥영양액(CPN)을 투여할 때 간호사가 취해야 할 조치는 무엇인가?

  A. 용액의 주입은 12시간을 넘기지 않는다.

  B. 용액을 48시간 이상 주입한다.

  C. 처방된 속도로 주입을 시작하고 유지한다.

  D. 4시간 이상 동안 주입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킨다.

 

2. 중심정맥영양액(CPN)을 공급받고 있는 대상자의 간호사정 시, 발열(fever), 권태감(malaise), 오한(chills)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때 간호사가 의심해야 하는 합병증으로 알맞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감염(exit-site infection)

  B. 체액저류(fluid retention)

  C. 전신적 감염(systemic infection)

  D. 저혈당증(hypoglycemia)

 

3. 최근에 중심정맥영양(CPN) 치료를 시작한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가 초기 임상병리검사 결과를 검토했을 때 중심정맥영양(CPN)과 관련하여 가장 흔한 대사 합병증임을 알 수 있는 상태는 무엇인가?

  A. 고혈당증(Hyperglycemia)

  B. 질소혈증(Azotemia)

  C. 혈청 아미노 전이효소(Serum aminotransferase) 수치 상승

  D. 고암모니아혈증(Hyperammonemia)

 

4. 간호사가 몇 주 동안 중심정맥영양을 공급받고 있는 대상자를 간호하고 있다. 대상자의 피부가 건조하고 잘 벗겨지며, 머리카락이 거칠고 잘 빠지며, 또한 상처치유의 장애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때 간호사가 예상할 수 있는 대상자의 상태는 다음 중 무엇인가?

  A.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B. 철분결핍성 빈혈(Iron-deficiency anemia)

  C.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

  D. 본태성 지방산 결핍(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EFAD)

 

5. 신규간호사가 3-in-1으로 되어있는 중심정맥영양 혼합액을 1.2 micron filter를 끼운 후 수액 세트에 연결하여 대상자의 중심정맥관에 연결하고 있다. 이때 관찰하던 선임간호사가 취해야 할 조치로 알맞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지질액이 필터를 거쳐 투여되어야 함을 설명한다.

  B. 신규간호사가 주입을 시작하게 해야 한다.

  C. 신규간호사에게 0.2 micron filter 를 사용하도록 지적한다.

  D. 신규간호사에게 의사의 처방에 맞게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토록 한다.

중심정맥 카테터: 관리 및 드레싱 교환

(Central Venous Catheter: Maintenance and Dressing Change) 

 

1. 오른쪽 상지에 중심정맥 카테터를 가진 대상자에게서 상지의 통증, 부종, 압통이 보고되었다. 카테터에는 수액이 주입되지 않았다. 간호사가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VC-associated complication)을 나타내는 증상과 징후에 대해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A.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 (CLABSI)

  B. 카테터 폐쇄(Catheter occlusion)

  C. 혈전성 정맥염(thrombophlebitis) 또는 정맥 혈전증(venous thrombosis)

  D. 침윤(Infiltration) 또는 혈관 외 유출(extravasation)

 

2. 간호사가 발한이 있는 대상자(diaphoretic patient)의 중심정맥 카테터 드레싱을 교환할 준비를 하고 있다. 간호사가 취해야 할 조치로 다음 중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A.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 위에 투명 드레싱을 한다.

  B.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에 거즈 드레싱을 하고 그 위에 투명 드레싱을 한다.

  C.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에 항균연고를 바르고 거즈 드레싱으로 덮는다.

  D.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 위에 밀봉 거즈 드레싱을 한다.

 

3. 중심정맥 카테터(CVCs)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간호사가 해야 하는 절차로 맞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A. 근무교대 시마다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를 소독액으로 세척한다.

  B. 드레싱이 젖거나 느슨해지거나 더러워지면 교체해준다.

  C. 드레싱은 96시간 이내에 교체하지 않는다.

  D. 카테터 출구부위(catheter exit site)에 항균연고를 바른다.

 

4.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부위에 발적, 삼출물, 통증을 경험하고 발열이 있는 대상자가 있다. 다음 중 가장 적절한 간호 중재는 무엇인가?

  A. 배양과 민감성 검사를 위해 카테터 삽입부위에서 검체를 얻는다.

  B. 의사에게 보고하고 중심정맥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CLABSI)이 확진되면 어떤 중재를 할 것인지 상의한다.

  C. 정맥 개방성을 유지(keep-vein-open)하는 수준으로 수액을 감소시킨다.

  D. 카테터를 소독액과 povidone-iodine 연고를 이용하여 닦는다.

 

5. 중심정맥 카테터의 거즈 드레싱은 적어도 얼마나 자주 교환해야 하는가?

  A. 2일마다

  B. 24 시간마다

  C. 5일마다

  D. 7일마다

반응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