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문헌고찰
1. 자발성 뇌내출혈, 고혈압성 뇌출혈
(1) 개 요
뇌실질내의 자발성출혈은 국내 뇌졸중 환자의 약 반수를 차지할 정도로 빈도가
높습니다. 미국에서는 뇌졸중의 6.3-12%를 차지하고 매년 평균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9명이라고 하며, 뇌내출혈의 2/3가 45-75세에서 호발하고 뇌 CT, 미
세수술 등 현대 신경외과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60-80%로 높습니다.
뇌내출혈의 원인은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혈압 소견이 부검에서 60%, 임
상증예에서 40% 등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뇌내출혈의 위험인자는 연령분포에
따라 달라서 청년층에서는 동정맥기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반면 장, 노년층
에서는 고혈압에 의한 출혈이 많습니다.
이외에도 전체적으로 볼 때 고혈압성 뇌출혈외의 뇌실질내 출혈의 원인으로 보면
뇌내 혈종의 약 20%(2-41%)는 낭상동맥뉴의 파열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전교통
동맥 동맥뉴 파열시는 전두엽에, 내경동맥분지 부위나 중대뇌동맥 동맥뉴 파열시는
측두엽이나 렌즈핵에 뇌출혈을 일으켜 고혈압성 뇌내출혈과 비슷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실질내 출혈의 5-6%는 뇌동정맥기형의 출혈이나 뇌혈관조영술상 나타나지 않는
뇌뇌혈관기형(AOVM's : angiographically occult vascular malformations)의
출혈입니다.
그밖에 뇌실질내 출혈의 약 3%는 뇌종양의 출혈로 인하여 발생되며 악성신경교종과
우리나라에는 서양에 비해 흔하지는 않지만 흑색종, 그외 웅모암에 의한 전이성 뇌
종양 등이 출혈을 잘 일으킨다. 뇌종양에 의한 측두엽 허니아로 뇌간의 정중부에
이차적인 출혈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전신질환중에서 뇌실질내 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로 백혈병, 혈우병, 재생불능
성 빈혈,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등의 질환과, 헤파린 등의 항응고제 투여중의 환자
에서 볼 수 있는데 전체 뇌실질내 출혈의 약 2%가 이에 해당합니다.
(2) 정 의 :
고혈압성 뇌출혈은 문자 그대로, 자발성 뇌내출혈중 알려진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고, 고혈압이 그 원인일 때를 일컬으며, 대개, 임신중독증 등의 급성 고혈압 이나
만성 고혈압의 병력이 있으면서 뇌실질내 출혈의 특징적인 위치가 확인될 때를 말
합니다.
65세이상의 노인의 약 66%가 고혈압이 있기 때문에 과연 고혈압이 뇌출혈의 원인
인가 하는 의문도 제기됩니다만 위에서 언급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때 대개 고혈압성
뇌출혈이라 합니다. 고혈압성 뇌내출혈의 연령분포는 20대에서 80대까지이나 대부분
은 40세에서 70세사이에 발생합니다.
성별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남자에 약간 호발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보통 혈압이
200/100mmHg의 범위에서 잘 발생되지만 수축기압이 160mmHg이하에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고혈압성 뇌내출혈의 호발부위는 5군데로 1) 피각부 출혈(putaminal hemorrhage)
2) 시상부 출혈(thalamic hemorrhage) 3) 피질하 출혈(subcortical hemorrhage)
4) 교출혈(pontine hemorrhage) 5) 소뇌출혈(cerebellar hemorrhage) 입니다.
(3) 부위별 빈도
보고에 따라 그 빈도의 차이가 있지만, putamen(피각)이 가장 많아 40%, thalamus
(시상)가 30%, subcortex(대뇌피질하)가 10%, cerebellum(소뇌)이 10%, 그리고
pons(뇌교)가 10%정도이다. putaminal hemorrhage는 lateral lenticulostriate
artery의 파열에 의해 발생한다
(4) 원인/병태생리 :
고혈압 환자에서 뇌출혈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미소동맥류(microaneurysm)의 파
열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볼 수 있다.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게 되면 뇌내 소동맥에
유섬유소변성(fibrinoid degeneration), 그리고 혈관 괴사(angionecrosis)가 일어
나서 결국 microaneurysm이 형성되고 이것이 파열하여 출혈을 일으킨다고 생각
이다. 병변은 직경 100-200u정도의 종말 혈관으로, 대표적인 혈관으로는 lenticulo-
striate artery나 thalamoperforating artery 등이 있다.
출혈 자체는 2-3시간에서 수시간 이내에 정지한다고 할 수 있다. 출혈된 양이 큰
경우는 바로 brain herniation을 일으켜서 사망하게 된다. 출혈이 극소량으로 정지
된다면 두개강내압을 그다지 올리지 않고도 자연히 흡수된다. 혈종이 중등도인 경
우는 뇌압은 상승시키지만 바로 brain herniation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서서히 뇌
부종이 증가하여 더욱 뇌압이 증가하게 되면 brain herniation을 일으키게 된다.
소뇌출혈의 경우는 posterior fossa의 용적이 작을 뿐더러, 중뇌수도와 제4뇌실의
폐쇄를 잘 일으켜서 두개내압을 급속히 항진시키고 brain herniation을 빠른 시간
안에 일으키게 된다. putamen이나 thalamus의 출혈은 가끔 측뇌실로 터져 들어가
CSF순환장애를 초래하여 두개내압상승을 야기시키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 뇌내혈종은 반드시 뇌를 파괴하므로, 혈종의 부위와 크기에 따르는 신경증상이
나타나며, 혈종이 흡수된다 하여도 후유 장애가 남는 경우가 많다
(5) 증 상
고혈압성 뇌내출혈의 증상은 출혈부위, 출혈량, 출혈의 파급양상에 따라 임상증상을
달리 합니다.
▽ 피각부 출혈
진행성인 반신 부전마비나 반신마비가 감각소실과 함께 발생하며, 시야결손이 현
저할 수도 있고 우성반구의 출혈이면 언어장애가 생깁니다. 비우성반구가 침범되면
반대측 상하지의 조절 및 인지를 하지 못하게 되기 쉬우며, 안구는 보통 병소쪽을
향하여 편위됩니다.
신경학적 결손증세는 수분내지 수일에 걸쳐 진행되기도 하며, 피각내 출혈이 소
량이더라도 출혈이 뇌실내로 퍼지면 뇌척수액압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대량의 혈종에서는 혼수, 산동, 대광반사소실, 제뇌경직 등이 나타나며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시상부 출혈
시상의 어느 부위에도 출혈이 일어날 수 있으며 혈종의 직경은 1cm이하부터 3-4
cm까지 다양합니다. 신경학적 결손은 피각출혈보다 서서히 발생하여 점진적인
반대측 반신부전마비가 발생되고 반대측 지각소실이 야기됩니다. 저린감이 초기
증상일 수고 있습니다.
수직방향의 주시 부전마비, 정지시 안구의 공액편시, 사편시, 대광반사소실 등의
안증상이 나타나며, 출혈이 시상하부에 일어나면 동측반맹이 발생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부르면 깨는 기면에서 부터 통증에 의해 깨는 혼미 등 의식장애를 동반
하며 이런 증상은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고 급성수두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피질하 출혈
엽성출혈(LOBAR hemorrhage)라고도 불리우며, 대부분의 피질하 출혈은 측두,
두정, 후두엽내에서 기시되지만 전두엽도 예외는 아니고, 크기와 부위가 다르듯이
임상증상도 다를 수 있습니다. 초기에 출혈측에 편위된 심한 두통이 발생하며,
뇌의 후반부에 병소가 있으면 편위된 시야결손과 지각결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실어증, 독자불능(글자를 읽지 못함), 기억장애등이 우성반구의 출혈시 나타날 수
있고 구성실행(짜맞추기를 하지못함, 예로 시계의 번호판을 채워넣지 못함), 실
인(사물을 인지하지 못함)이 비우성반구내의 출혈에서 나타날 수 있다. 전두엽
부위 출혈에서는 반신 부전마비가 발생되고 부전 실어증이 우성반구의 측방부
병소의 주증상일 수 있습니다. 전두엽 내측의 출혈은 뇨실금, 흡인반사 및 의지
결여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국소성 전간이 발생하기도 하며, 대량출혈은 뇌실내로
파급될 수 있으며. 뇌간 압박을 일으켜 점진적인 기면과 혼미상태로 진행합니다.
▽ 교출혈
교출혈은 그 양이 적더라도 다른 부위의 출혈보다 더 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
습니다. 대개 두통이 갑자기 발생하고 점진적인 의식의 악화로 환자의 2/3정도가
12시간내에 혼수상태에 빠지며 48시간내에 호흡마비가 일어나 사망합니다. 초기
에는 호흡이 빨라질 수도 있지만 사망직전에는 느리고 불규칙하게 됩니다.
눈은 보통 약간 상방으로 고정되고 특징적인 안구진탕이 일어나기도 하며 동공은
대개 직경 2.5mm이하의 크기로 축소되어 있으나 강한 빛에 의한 대광반사는 남아
있습니다. 반수 이상에서 사지의 이완성마비가 양측혹은 편측으로 나타나고 교감
신경 기능의 소실로 발한이 멈추어져 사망직전에는 41℃까지 체온이 상승하기도
합니다.
출혈이 광범위하지 않고 국한된 경우는 증세의 발현이 비교적 느리며 전형적인
일측성의 뇌신경마비, 반대측 반신부전마비, 안구진탕, 핵간 안운동바비와 동반된
운동실조 및 구음장애 등이 나타나서 뇌종양으로 오진되기도 합니다.
▽ 소뇌출혈
가장 흔히 발생하는 증상은 심한 후두통 및 구토인데 2/3이상에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심한 운동실조가 있어 서거나 걷기가 힘들고 환자는 병소측으로 넘
어지게 됩니다.
구음장애도 가끔 발생하고, 동공은 정상이거나 축소되며, 수평안구진탕이 동측으로
나타나고 의식이 저하됨에 따라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와 각막반사의 소실이 동
측으로 흔히 나타납니다.
기면상태가 발생하지만 아주 말기징후이며, 호흡마비가 경고없이 갑자기 발생하
기도 하는데 이는 교 연수 인접부위를 압박하여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진단
뇌출혈의 진단이나 출혈 부위의 진단은 임상증상의 특징으로 비교적 용이하다. 그
러나 비정형례, 특히 작은 혈종인 경우는 두통이나 의식장해가 없는 등 뇌경색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뇌출혈 또는 뇌졸중이 의심되는 경우는 우선
brain CT를 실시한다.
1) Brain CT
혈종은 단순 CT에서 고흡수역(hyperdensity)으로 보이므로, 혈종의 부위와 크
기는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동반하는 IVH, SAH, 주위 뇌부종, brain herniation
정도를 볼 수 있다. CT로써 뇌출혈과 뇌경색의 감별이 용이하지만, 뇌출혈이
고혈압에 의한 것인가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것인가의 감별은 쉽지 않다.
2) Cerebral Angiography
고혈압의 기왕증이 없는 경우, CT에서 고혈압성 뇌출혈의 전형적 부위가 아닌
경우, 젊은 환자의 경우, 피질하 출혈의 경우, 소뇌출혈의 경우, 또는 ICH이외에
SHA등의 출혈이 동반된 경우는 AVM, Aneurysm, 그 이외의 혈관기형에 의한
출혈을 의심하여 적극적으로 뇌혈관촬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7) 수술적응과 임상에서의 문제점
수술적응을 고려할 시에는 본 질환이 고혈압이라고 하는 전신성 질환에 의한 상태
라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혈종 부위나 크기, 신경학적 소견 이외에, 환자의 연령,
전신상태, 합병증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1) 혈종 제거의 목적
혈종이 상당한 크기로, 뇌압이 항진되어 있는 경우는 생명을 구하기 위해 혈종을
제거하여 감압을 한다. 그리고 혈종의 크기가 작고 의식이 청명한 경우는 수술을
실시하지 않고 주의 관찰을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고도의 의식 장해(coma등)가
있는 경우는 혈종을 제거하여도 예후가 불량하므로, 수술의 적응은 아니라고 생
각할 수 있다. 그래서 혈종제거의 좋은 적응은 혈종의 압박에 의해 경도 및 중등
도의 의식장해가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혈종의 크기와 의식 상태에 따라 conservative treatment를 할 것이냐
수술로 국소적인 압박을 제거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있다. 특히 혈종은
저절로 흡수되어지며 이미 신경조직을 파괴하여서 신경 기능의 회복이 어렵다고
보아 수술을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혈종이 뇌실로 터져 CSF pathway를 막으면, 뇌실확장에 인한 뇌압항진이 오므로
뇌실 drainage(EVD, extraventricular drainage)를 실시하기도 한다.
2) 출혈 부위와 수술적응
혈종 제거가 적응이 되는 출혈은 putaminal, cerebellar, subcortical hemorrhage이
면서, 많은 양으로 경도 및 중등도의 의식 장해가 있을 때는 긴급히 혈종제거를
실시한다. pontine hemorrhage는 원칙상의 적응은 아니다.
3) 수술법
가장 빈도가 높은 putaminal hemorrhage는 개두법에 따라 sylvian fissure를
통해 혈종에 도달하는 transsylvian approach와 측두엽 피질을 절개하여 도달
하는 transcortical approach가 있다. 최근에는 뇌손상을 줄이기 위해 CT로 혈
종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여 정위적 뇌수술법을 이용한 천자만으로 혈종을 흡인
제거하는 수술(CT-guided stereotaxic operation)이 많이 실시되고 있다.
(8) 특발성 뇌출혈
확실한 원인이나 기초 질환을 알 수 없는 뇌출혈을 특발성 뇌출혈(spontaneous ICH)
라고 한다. 뇌출혈 전체의 약 5%를 차지한다.
최근의 화상진단법의 발전과 병리조직학적 연구에 의해 지금까지 특발성으로, 원인
불명이던 것 중에는 작은 혈관 기형들이 증명된 예가 있다. 뇌혈관 촬영으로 나타
나지 않는 것으로, cryptic vascular malformation, cryptic AVM등으로 불린다.
조직학적으로는 AVM, capillary telangiectasia, cavernous angioma, venous
angioma 등이 증명되어 있다.
특발성 뇌출혈은 20-30세의 젊은 사람에 많다. 혈종의 호발 부위는 대뇌 반구의
백질로 특히 측두엽에 많다. 증상은 고혈압성 뇌출혈의 경우와 거의 비슷하지만,
대개는 그보다 가벼운 경우가 많다. 예후도 비교적 양호하다
(9) 경과/예후 :
대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는 뇌 허니아에 의한 뇌간의 기능부전이며, 주로 출혈이
있고 첫주내에, 그리고, 신경학적 의식평가의 척도로 글래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라는 것이 있는데, 출혈당시의 이 척도가 7점이하(대개 의식이 없으면
서 통증에 대해 미약한 반응을 보이는 정도)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습니다.
대개 위치가 깊지 않은 피질하 출혈이 심부 출혈인 피각부 출혈이나 시상부 출혈에
비해 예후가 좋으며, 전체적으로 30일 이내 사망률이 약 44%입니다.
(10) 합병증 :
대개 자발성 뇌내출혈이 있은 후 합병증에 의해 환자의 상태가 더 악화되는 경우는
1) 재출혈 2) 뇌부종 3) 수두증 4) 전간 등이 있습니다.
(11) 치 료 :
뇌내출혈을 일으킨 환자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하며, 혈종의 수술적 배출의 필요성
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합니다. 약물치료를 포함하는 보존적인 치료와 수술적인 치
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용되어야 합니다.
▽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는 적당한 양의 수액, 전해질과 영양분 투여, 배설기능의 유지, 피부
및 폐의 합병증 방지, 체온의 조절, 두통과 불안의 치료, 항고혈압제의 투여, 두
개강내압상승의 조절 등이 포함됩니다.
▽ 수술적 치료
고혈압성 뇌내혈종의 수술 목적은 혈종이 커서 두개강내압항진을 초래하는 경우
혈종을 제거하여 감압으로 사망을 막고자함이며 또 혈종을 조기에 제거함으로써
혈종주위의 부종과 경색등을 방지하여 신경학적 결손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습
니다. 수술여부는 환자의 일반상태, 혈종의 부위, 연령, 혈종의 양, 환자의 의식상
태, 임상경과 등을 고려하려 결정하는데 의식상태와 혈종의 부위가 중요한 인자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피각, 피질하 및 소뇌혈종에서 수술이 고려되며, 특히 소뇌혈종
은 응급 후두하 두개골 절제술로써 생명을 구할 수 있고, 예후가 좋을 수 있습니다.
시상 및 교혈종은 수술을 안하는 것이 원칙으로 여겨져 왔으나 최근에 수술로써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뇌내출혈 발생 당시 의식이 명료하였던 환자가 입원 경과중 의식상태가 점차 악
화되거나, 발병 당시부터 기면 내지 반혼수상태의 환자가 수술의 적응이 됩니다.
수술의 방법으로는 개두술에 의한 혈종제거술, 정위수술에 의한 혈종제거술 등이
있습니다.
(12) 예방법
고혈압성 뇌내출혈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뭐니뭐니해도 고혈압의 예방입니다. 성
인의 경우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식습관의 변화, 운동부족 등으로 나이가 들면서 고
혈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항상 고혈압 유무를 체크하여 있으면 조절해야
합니다.
그외에 뇌졸중의 위험인자(고혈압, 심장질환, 흡연 등)들에 대한 예방이 필요하며,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게서는 더욱이 주의가 요망됩니다.
2. 고혈압(hypertension)
고혈압은 정상범위내로 동맥 혈압을 조절하는 기전에 변화가 발생된 혈관조절 질환이다.
조절에 있어 중요한 기전은 중추신경계, 신장압계, 세포외액량이다. 이 기전에 부전이 생
기는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혈압은 심박출량의 증가와 말초혈관 저항이 증
가되어 상승된다.
▣ 병태 생리
. 일차성 또는 본태성 고혈압(거의 고혈압 환자의 90%)1
① 이완기압이 90mmHg 또는 그 이상이거나 다른 고혈압의 원인이 결여된 상태를 일차성 고혈압이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휴식 상태에서 며칠의 간격을 두고 3번 또는 그 이상 혈압을 측정한 평균치가 다음 표의 수치를 초과하면 고혈압으로 고려된다.
②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몇가지 연구분야가 있다.
․교감신경성 혈관수축신경의 과활동
․평활근에 작용하고 수축 물질을 자극하는 인자를 함유하고 있는 혈액구성 물의 현존
․세동맥 수축 후에 나타나는 심박출량의 증가
․renin-angiotension체계, 신장 염분과 수분의 배설 그리고 혈관 평활근의 긴장을 포함하는 조절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prostaglandins
․가족적(유전적) 경향
③ 고혈압을 서술하는 용어
․불안정(labile) - 간헐적인 혈압의 상승
․촉진성(accelerated) - 많은 증상과 혈관의 손상을 유발하는 동맥압의 갑작스런 심한
상승
․저항성(resistant) - 일반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고혈압
2. 이차성 고혈압(고혈압 환자의 5-10%djl 환자가 이경우에 해당한다)
① 기본적인 병리과정은 일차성 고혈압과 동일하다
② 신장 병리 -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선천적 이상, 신우신염, 신동맥페색, 급 만성 사구체신염
․신장으로 혈액 순환 감소(죽상경화성 풀라그) - 레닌을 유리한다. 레닌은 간에서 혈청단
백과 반응한다.
③ 대동맥교착증(대동맥협착증) - 상지에 흐르는 혈액이 하지에 흐르는 것보 다 많다 - 상체의 고혈압.
④ 내분비 이상
․ 갈색세포증 - epinephirine과 norepinephirine의 유리를 초래하여 혈압을 상승시키는
부신의 종양
․ 부신피질종양은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고 혈압을 상승시킨다.
․ 쿠싱증후군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를 증가시키고 고혈압을 유발한다.
․ 갑상선기능항진증
3.촉진성 고혈압 - 고혈압 위기
혈압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목표 기관을 위협하면서 매우 빠르게 상승된다
: 뇌, 신장, 심장.
▣ 유병률과 위험요소
1. 고혈압은 빈도가 높은 만성 질환 중의 하나로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대부분의 고혈압
환자가 치료되지 않고 있다.
2. 증상이 없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 the silent killer'라고 불린다.
3. 유병률의 증가는 다음의 위험요소와 관련되어 있다.
(연령 : 37∼70사이, 인종 : 아프리카계 미국인, 피임약, 과체중, 가족력, 흡연, 좌식 생활
양상, 스트레스, 당뇨)
▣ 임 상 증 상
1. 대개 무증상이다.
2. 두통, 현기증, 현저한 형압상승은 흐려진 시야 초래할 수 있다.
3. 표에 제시된 정도의 혈압
≪고혈압의 분류≫
분 류 이완기압(mmHg) 분 포 |
경 증 90∼104 70% 보 통 105∼114 20% 중 증 115 10% |
▣ 진단적 평가
1. 심전도 - 심장에 미치는 고혈압의 영향(좌심실 비대, 허헐) 또는 원발성 심질환을 파악하기 위해
2. 흉부X - 선촬영 - 심비대를 보기 위해
3. 단백뇨, 혈청BUN과 crestinine치의 상승-고혈압의 원인이나 영향으로서 신장 질환을
나타낸다.
4. 혈청 칼륨-1차적 알도스테론 기능항진의 경우 저하되며 쿠싱증후군의 경우 상승된다.
모두 이차성 고혈압을 초래한다.
5. Catecholamin - 갈색세포종이 있는 경우 증가한다.
6. 신장 혈관질환을 파악하기 위한 신장의 스캔
▣ 관 리
생활양식의 수정
① 이상적인 체중의 10%이상 초과되면 감량한다.
② 일일 1온스 ethanol이하로 알코올 제한
③ 일주일에 3번 정규적으로 유산소성 운동을 한다.
④ 하루에 2gm이하로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⑤ 하루에 권장된 칼륨, 칼슘과 마그네슘을 식이에 포함시킨다.
⑥ 금연한다.
⑦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인다.
⑧ 생활양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3-6개월 동안 혈압이 140/90으로 유지되거나 이상인
경우, 약물치료를 시도해야 한다.
▣ 약 물 요 법
① 치료를 선택함에 있어 고려해야 하는 사항.
․인종 -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이뇨제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다.
백인은 ACE억제제에 대한 반응이 좋다
․연령 - 몇몇 부작용에 대해 노인 환자들은 내성이 없다.
․공존성 질환자 치료 - 몇가지 제제들은 편두통, 양성 전립성 과형성증. 심부전을 치료한다.
․삶의 질의 영향 - 부작용에 대한 관용
․ 경제적 고려사항 - 새로 개발된 제제는 매우 비싸다.
② 제제
․이뇨제 - 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분과 염분을 소변으로 배설시킴으로써 혈압을 낮춘다.
․β차단제 - 심장의 박동을 느리게 하고 심박출량을 저하시키며 신장으로부터의 레닌
유리를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는 아드레날린 억제제
․α수용차단제 - 말초혈관을 이완시키고 말초혈관 저항을 낮춤으로써 혈압을 낮춘다.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억제제 -AngiotensinⅠ을 강력한 혈관수축 물질인
AngiotensinⅡ로 전환시키는 효소를 차단함으로써 혈압을 낮춘다. 이런 약물들은
Bradykinin치와 혈관이완 물질을 상승시키고 aldosterone치를 낮춘다.
․칼슘길항제 - 세포내로 칼슘 이동을 차단한다;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의 이완을 초래
한다; 신세뇨관의 염분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③ 1-3개월내에 첫 번째 약물로 고혈압이 조절되지 않았다면 3가지의 선택사항을 고려해
본다.
․만약에 환자가 충실히 약물을 복용하고 약에 대한 부작용 없다면, 약물의 용량을 증량
한다.
․부작용 있다면 다른 종류의 약물로 대치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약물을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한 약물로 혈압이 하강되면 첫 번째 약물을
서서히 감량할 수 있다.
④ 고혈압의 최선의 관리는 생활양식의 변화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를 격려하며, 가장 낮은
용량으로 가장 적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혈압을 최소한 1년 동안 조절한 후 서서히
진행적으로 약물요법을 감량할 수 dLT다.
▣ 합 병 증
1. 관상동맥의 관류저하로 인한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
2. 지속적인 대동맥압상승으로 인한 죄심실 비대와 심부전
3. 신장혈관의 비후와 사구체의 관류저하로 인한 신부전
4. 뇌허혈과 동맥경화로 인한 뇌졸중 도는 뇌출혈
5. 망막장애
6. 촉진성 고혈압
▣ 간호중재
→ 기본교육 제공
1. 고혈압의 의미와 위험요인을 설명하고 이러한 요인들의 심혈관, 뇌,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한다.
2. 결코 완치될 수 없고 본태성 고혈압의 조절만이 가능함을 강조한다. 조절되지 않은 고
혈압의 후유증을 강조한다.
3. 고혈압과 증상 사이에 관련성이 없음을 강조; 환자의 느낌으로 자신의 혈압이 정상 또는
상승되었는지 알 수 없다.
4. 고혈압은 만성이며 지속적인 치료와 정규적인 평가가 요구됨 강조한다. 효과적인 치료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킨다. 따라서 추후 건강간호 방문이 필수적이다.
5. 계획된 보충적 지침을 제시한다.
① 불안을 최소화시키고 협조를 얻기 위해 다양한 진단의 의미와 치료 활동에 관해 설명
한다.
② 환자의 배우자, 가족, 친구의 도움을 요청한다 - 치료계획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③ 특정한 환자를 위한 식이계획에 주의한다.
6. 고혈압의 약물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효과적으로 혈압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음을 설명한다.
․특정한 약물 복용한 후 저혈압이 유발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어지러운 증상시 서서히 일어나도록 지시한다. 현기증 있으면 즉시 눕도록한다.)
․비울혈, 무기력, 식욕부진과 직립성 저혈압같은 부작용에 대해 인식시킨다.
․환자에게 치료의 목적은 혈압을 조절하고 합병증의 가능성을 저하시키며 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용량으로 최소한 약물을 사용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 노인간호시 유의점 ♠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약물들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은 노인 환자들을 이해라기
어려울 수 있다. 노인들은 흔히 약물들의 이름을 발음하기 어렵다. 색깔 코드가 된 약병과
색깔 코드로 된 시간별 투약 차트는 노인 환자들이 약물 복용시간에 대해 기억할 수 있
도록 돕는 한 방법이다. 노인 환자들은 또한 약물의 치료 용량에 더 민감할 수 있으며 보통
용량을 투여할 때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직립성 저혈압에 더 민감하며 체위 변경시
세심한 간호를 필요로 한다.
Ⅱ. Case study
1. 환자 사정
(1) 진단명 : Spont. ICH(자발성 뇌내출혈), HTN (고혈압)
(2) 간호력
일반 정보 |
•성명 : 김 O O •성별 / 나이 : M / 56 •입원일시 : 2002.06.10, 00:30분 | |
•입원방법 ∙Ambulatory ■ER wheelchair OPD ■Stretcher car ■기타 : OP후 •활력증상 ∙T : 36 P : 92 R : 22 BP : 180 / 90 |
•개인력 ∙기혼 ∙가족 : 부인 / 2남 ∙직업 : 고등학교 교사 ∙학력 : 대졸 ∙종교 : 없음 ∙입원시 동반자 : 가족 |
|
병력 | •입원동기 및 주 증상 : 평소건강하던 분으로 ’02년 6/9, 17:00경 맥주마시다가 갑자기 Rt Side hemiparesis 있어 본원옴. (당시 mental loss는 없었으며 언어장애도 없었음, Vomitig 수차례 함) •입원경력 : 없음 •과거경력 : 약 30년전 축농증 op (영대병원) 약 10년전 축농증 op (상동) 약 30년전 치질 op •가족력 : 아버지 고혈압 (사망) |
|
일상 생활 정보 |
•식이 : 맵게, 편식 없음 •기호식품 : 술 (맥주 1캔 / 1회), 커피 (1잔 / 1일) •수면습관 : 취침 22:00 기상 : 06:00, 불면증 없음 •활동상태 : 자유로움 •알러지 : 없음 •현재 복용하는 약 : 아스피린 (2년전부터 1일 1알) |
|
건 강 력 |
•피부 : 정상 •머리 : 가사, 기절 •눈 : 안경 •입과목 : 기타 (intubation) •호흡계 : intubation •순환계 : 정상 •근골계 : 약함 •위장관 : 오심 •비뇨생식기 : foley catheterization •의식 : 무의식 •지남력 : 무 (시간, 장소, 사람) •의사소통 : 불가능 |
2. 진단적 검사 및 결과
(1)진단혈액검사 (Hematology)
내용 | 정상치 | 단위 | 6.17 | 6.18 | 6.19 |
WBC(×103) | 7.0±3.0 | ul | 11.2 | 11.5 | 13.5 |
RBC(×103) | M 5.4±0.9 F 4.8±0.6 |
ul | 3.86 | 3.69 | 3.49 |
HGB | M 16.0±2.0 F 14.0±2.0 |
g/dl | 11.4 | 11.1 | 10.5 |
HCT | M 45.0±7.0 F 41.0±5.0 |
% | 34.9 | 32.9 | 31.7 |
MCV | 90.0±7.0 | fl | 90.5 | 89.2 | 90.6 |
MCH | 29.0±3.0 | pg | 29.6 | 30.1 | 30.2 |
MCHC | 34.0±2.0 | % | 32.7 | 33.7 | 33.3 |
RDW | 13.0±1.5 | % | 11.7 | 11.8 | 12.0 |
PLT(×103) | 290±150 | ul | 152 | 178 | 197 |
MPV | 8.9±1.5 | fl | 8.1 | 8.0 | 7.8 |
PCT | 0.24±0.08 | % | 0.122 | 0.143 | 0.154 |
PDW | 16.5±1.0 | % | 16.1 | 16.3 | 16.7 |
DIFF. COUNT | |||||
SEG. NEUTRO | 50-75 | 87.6 | 85.6 | 86.6 | |
EOSINO | 1.0-5.0 | 0.3 | 1.0 | 2.1 | |
BASO | 0-2.0 | 0.3 | 0.2 | 0.2 | |
LYMPHO | 20-45 | 5.4 | 7.2 | 5.4 | |
MONO | 2.0-9.0 | 6.4 | 6.0 | 5.7 |
(2) Urine Test
내용 | 정상치 | 6.17 | 6.18 | 6.19 |
color | straw | straw | Brawn | straw |
appearance | clear | tumid | tumid | tumid |
Reaction(ph) | 4.6-8.0 | 8.0 | 8.5 | 7.5 |
specific gravity | 1.005-1.030 | 1.010 | 1.010 | 1.015 |
albumin | negative | negative | Trace | trace |
glucose | negative | ++ | negative | negative |
ketones | negative | negative | negative | negative |
bilirubin | negative | negative | +++ | negative |
blood | negative | +++ | negative | +++ |
nitrite | negative | negaive | negative | negative |
urobilinoge | trace | negative | negative | negative |
Microscopic Examination | ||||
WBC | 0-3 | 3-5/HPF | 1-2/HPF | 2-3/HPF |
RBC | 0-3 | numenus/HPF | numenus/HPF | numenus/HPF |
Epith. cell | + | +/HPF | +/HPF | +/HPF |
Serum Osmolaity | 285-294 | 266 | 263 | |
urine Somolaity | 525 | 567 |
(3) 임상 생화학 검사
내 용 | 정 상 치 | 6.17 | 6.18 | 6.19 |
Bun | 8-23 mg/dl | 19 | 20 | 21 |
Creatinin | 0.6-1.5 mg/dl | 0.8 | 0.6 | 0.8 |
Na | 135-148 mEq/1 | 136 | 136 | 135 |
K | 3.5-5.5 mEq/1 | 3.8 | 4.1 | 4.4 |
AST | 25 | |||
ALT | 43 |
3. OP
6/10 craniotomy ć CRW ć one burrhole Drainage 후 B-ICU 입실
6/14 Tracheostomy
1) 천공 배역술 (Burrhole Drainage)
이는 뇌 수술 중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머리뼈와 뇌 표면 사이의 공간에 물이 고이거나
(경막하수종), 피가 고인 후 시간이 지나 고인 피가 물처럼 되었을때(만성경막하 혈종)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수술이다.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수술수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환자와 협조가 잘 이루어
지면 국소마취로도 수술이 가능하다.
수술부위의 두피를 소량 절개한 후 머리뼈에 오십원짜리 동전만하게 구멍을 뜷고 뇌막을
일부절개한 뒤 그 구멍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집어넣어 고인 피나 물이 이 관을 타고
지속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수술로써 수술로 인한 합병증, 후유증의 발생 가능성낮다 2) 뇌실외 배액술 (Extraventricular drainage)
이 수술도 천공배액술과 유사하나 도관이 뇌조직을 뜷고 뇌실까지 들어간다는 차이점이
있다. 주로 뇌실내출혈이나 혈압으로 인한 뇌출혈시 피가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실에서 뇌척
수액흐름이 막힌(급성수두증) 경우 응급으로 자주 시행하는 수술이다.
뇌실은 뇌안의 물주머니와 같아서 여기서 만들어진 물(뇌척수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
고그 흐름이 막힐 경우 물주머니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뇌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물을 뇌 밖으로 빼주는 수술이다. 장기간 도관이 삽입되어 있
게 되면감염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대개는 단기간에 걸쳐 일시적으로 뇌압을 조절하고
뇌실내 피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관을 제거 후 다시 수두증이 생기면 영구적으로
관을 삽입하는 죄실-복강 단락술이나 뇌실-심방 단락술 등을 시행해야 한다 3) 개두술 (Craniotomy)
이 수술이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뇌수술에 해당할 것이다.말 그대로 전신마취 후에 머리뼈 를 크게 열고 뇌막을 절개한 우 뇌의 병변(혈종. 종양. 미물 등)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일 반적으로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뇌를 직접 조작하는 수술이므로 다른 과의 수술에 비해 위험성이 높기는 하지만. 최신 장비의 오입과 수술수기의 발달로과거에 비해 수술후 사망 이나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많이 줄어 들었다.이러한 개두술을 응급으로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교통사고후에 발생한 급성 경막외혈종. 급성 경막하 혈종. 양이 많은 뇌실질내 출혈 등이 있다.
이런 응급개두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를 이병원 저병원으로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능하면 빠른 시간안에 수술받을 수 있도록 뇌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바로 이송되어야
한다.
4. Medication
(1) METHYSOL INJ(Vial) 125mg
① 적응증 : 내분비기능이상, 류마티스성질환, 교원성질환, 피부질환, 알러지질환,
안과질환, 위장관계질환, 호흡기계질환, 혈액질환, 악성종양성질환, 부종성
질환, 신경계질환,기타 결핵성 수막염, 선모충증, 장기이식, 암치료의 보조
요법.
②용법/용량 : 생명이 위급한 상태의 보조요법: 30mg/kg을 4-6시간마다 30분에 걸쳐
정주, 48시간까지 투여 가능. 급성척추손상: 30mg/kg을 15분간에 걸쳐
정주하고 45분 경과후 23시간 동안 시간당 5.4mg/kg을 정맥내 연속주입.
8시간 이내에 치료개시. 기타 질환: 10-40mg을 개시요법으로 하여 환자의
상태와 반응에 따라 조절. 기타 자세한 내용 제품설명서 참조.
③ 금기 : 전신성진균감염, 본제 과민증 환자, 신생아, 미숙아.
(2) 20% MANNITOL
① 적응증 : 수술중․후․외상후 급성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약물중독시 배설촉진,
두개내압강하 및 뇌용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 안내압강하가 필요한 경우.
② 용법 / 용량 : 1회 1-3g/kg을 15%, 20%, 25%액으로 점적정주. 1일 최대 200g, 투여속
도는 100ml/3-10분.
③ 금기 : 급성 두개내혈종, 심한 울혈성심부전, 심한 탈수상태의 환자.
(3) CURAN INJ(Amp) 100mg/2ml
① 적응증 : 위궤양, 십이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멘델
슨증후군예방), 수술후 궤양, 소화성궤양․급성스트레스궤양․급성위점막 병
변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
② 용법/용량 : 성인 1회 50mg 1일 3-4회 정주 또는 근주, 마취전투약의 경우 마취유도
45-60분 전에 50mg를 근주 또는 1분에 걸쳐 서서히 정주.
③ 금기 : 본제 과민증 기왕력자.
(4)CEREBROLYSIN
① 적응증 : 뇌기능장애, 대뇌 외상후, 교감신경피로, 소아정신 발달의 심한 장애, 기억 및
집중 부전증, 정신 및 심리적 과로.
② 용법/용량 : 경증에는 1일 1-5ml를 처음 10-20일간 매일 1회씩, 나중에는 매주 2-3회
주사. 중증에는 8-10일간 매일 10-30ml를 250ml 생리식염 주사액에 혼합
하여 정주. 2ml까지는 피하나 근주하며 5ml까지는 근주, 10ml 이상은
250ml 생리식염수주사액에 무균적으로 혼화하여 60-120분간에 걸쳐서
천천히 정맥내 투입.
③ 금기 : 심한 신장해 환자, 알러지 체질환자.
(5) NALOXONE
① 적응증 : 천연․합성마약․프로폭시펜․메타돈 및 마약길항진통제 등의 아편류에 의한
호흡억제를 포함한 마약 억제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역전, 급성마약 과량투여
시 진단, 마취제 및 정신신경안정제의 과량투여로 인한 호흡억제의 개선, 일산
화탄소 중독성 쇽의 개선, 뇌졸증․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애, 뇌척수
좌상, 안면신경 및 사지마비의 급성기의 개선.
② 용법/용량 : 마약의 과량투여 및 과량투여가 예상될때: 성인 0.4-2mg, 소아 초회
0.01mg/kg 정주. 수술후 마약성 억제의 부분적 역전: 호흡 억제의 최초
역전시에는 바람직한 역전의 정도가 나타날 때까지 2-3분 간격으로 성인
0.1-0.2mg씩 증량, 소아 0.005-0.01mg 정주.
③ 금기 : 본제 과민증 또는 그 기왕력자.
(6) MUCOSTEN INJ(Amp) 10% 300mg/3ml 3ml
①적응증 : 진하고 점도높은 가래를 수반하는 다음의 기관지 질환에서의 객담배출곤란
증상,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양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인후두염,
부비강염, 낭성섬유증, 수술후 폐합병증.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의 해독.
② 용법/용량 : 성인 1회 300mg, 소아 1회 150mg, 1일 1-2회 근주.
성인 1회 600-900mg, 소아 1회 300-450mg, 1일 2-3회 정주. 파라세타몰
중독의 해독: 처음 15분간 150mg/kg을 5% 포도당액 200ml에 희석하여
점적정주. 다음에 50mg/kg을 5% 포도당액 500ml에 희석하여 4시간 동안
점적정주. 마지막으로 100mg/kg을 5% 포도당액 1000ml에 희석하여 희석
하여 16시간 동안 점적정주. 총주입량은 300mg/kg, 투여시간 20시간 15분.
③ 주의 : 기관지천식, 호흡기능부전을 수반한 환자, 신생아.
(7) BOTROPASE INJ(Amp) 1IU/1ml
① 적응증 출혈, 1차 및 2차 출혈 증후군의 예방․치료.
② 용법/용량
- 예방: 수술 2-4시간전 1IU를 근주하거나 수술직전 1IU를 정주
- 정상치료: 1일 1IU 이상 근주
- 위급치료: 긴급한 경우 또는 출혈이 지속될 경우 정주하고 필요하면 반복주사
- 소아용량: 1IU를 8시간마다 근주
- 피부과: 대상포진의 증후에 처음 이틀 동안 1IU를 8시간마다 근주하고 셋째날부터
12시간간격으로 근주.
③ 금기 : 과민반응자, 정맥․동맥 혈전증 환자.
(8) CERADOLAN INJ(Vial) 1g
① 적응증 : 패혈증, 수술후 창상, 화상후 감염, 피하농양, 옹종, 부스럼, 부스럼증, 골수염,
화농성 관절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감염시), 폐렴, 폐화농증, 농흉, 담관염, 담낭염, 복막염,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수막염, 자궁내감염, 골반사강염, 자궁주위염, 자궁부속기염, 바르톨린선
염, 중이염, 부비강염.
② 용법/용량
- 성인: 1일 0.5-2g을 2-4회 분할 정주, 패혈증에는 1일 4g까지 증량.
- 소아: 1일 40-80mg/kg을 3-4회 분할 정주, 패혈증․수막염 등 중증 난치성 감염증에
는 1일 160mg/kg까지 증량.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제품설명서 참조.
③ 금기 : 본제에 의한 쇽 기왕력자.
④ 주의 : 본제 또는 세펨계나,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증 기왕력자, 기관지천식․발진․
두드러기 등의 알러지증상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의 가족력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경구섭취불량환자, 비경구영양환자, 고령자, 전신상태가 나쁜 환자.
(9) AMIKTAM INJ(Vial) 250mg/2ml
① 적응증 : 패혈증, 기관지확장증(감염시), 폐렴, 폐화농증, 골 및 관절감염증, 중추신경계
감염증(수막염 등), 피부 및 연조직의 중증 감염증, 복막염, 화상 및 수술후
감염증, 심한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감염증.
② 용법/용량
- 근주: 신장기능이 정상인 환자: 성인, 소아, 유아: 15mg/kg 2-3회. 1일 최대 1.5g
(역가). 신생아 초회 10mg(역가)/kg, 이후 매 12시간마다 75mg(역가)/kg. 평균
치료기간은 7-10일. 1일 최대 15mg(역가)/kg. 단순 요로감염증: 1회 250mg(역가),
1일 2회.
- 신장기능이 손상된 환자: 일정한 간격으로 용량을 감소하거나 상용량에서 투여간격
을 넓혀서 주사.
- 정주: 투여량은 근주와 동일. 500mg(역가)을 생리식염주사액 도는 5%포도당주사액
200ml에 희석하여 성인 및 소아의 경우 30-60분간 점적정주, 유아의 경우 1-2
시간 걸쳐 천천히 주입.
③ 금기 : 본제 또는 다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에 과민증
기왕력자.
(10) ORFIL SYR(Syr) 60mg/ml 100ml
① 적응증 : 간질(결신발작(소발작), 부분발작(초점발작), 정신운동발작 및 혼합발작)과
간질에 뒤따르는 성격, 행동장애의 예방과 치료.
②용법/용량 : 초회량 5-10mg/kg, 4-7일마다 5mg씩 증량. 유지량은 성인 1일량 20mg/kg,
소아 1일량 20-30mg/kg. 기타 자세한 내용은 제품설명서 참조.
③금기 : 간염 또는 중증의 간염 기왕력자 또는 가족력자, 본제 과민증 환자, 중증의
간장애 환자, 카바페넴계 항생물질 투여 환자, 포르피린증 환자.
(11) KALIKREIN TAB(Enteric film coated tab)
① 적응증 : 다음 질환에 의한 말초순환 장애: 고혈압, 메니에르 증후군, 폐색성 혈전혈관
염(버거병). 뇌순환장애, 갱년기 장애, 망맥락막의 순환 장애에 의한 여러증상
의 개선.
② 용법/용량 : 1일 50-250k.u.를 3회 분복.
③ 금기 : 뇌출혈직후 등의 출혈 환자.
(12) POB
① 적응증 : 위운동 조절, 위장관 연동운동 유발, 말초성 진토작용
② 용량 : 1회 1정, 1일 2회, 공복시 복용
6개월 미만 : 1회 2.5ml 1일 2∼3회
6개월 이상 ∼1세미만 : 1회 5ml 1일 3회
5세이상 : 1회 10ml 1일 3회, 식전에 경구 투여
(13) DIOGEL
① 적응증 : 소화점막의 보호 및 제산제로 식도염, 위염, 위․십이지장궤양의 대증요법.
②용법/용량 식후 및 통증시 1포, 그대로 또는 반컵의 물에 녹여서 복용
(14) FLAGYL INJ(Inj) 1.5g/300ml
① 적응증 : 혐기성균에 의한 질환, 수술후 혐기성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② 용법/용량 : 성인 및 12세 이상 500mg을 8시간마다 정주. 경구투여가 가능해지면 1회
400mg씩 1일 3회, 투여기간은 7일을 초과하지 말 것. 12세 이하 소아 1일
3회, 1회 7.5mg/kg.
③ 금기 : 이미다졸 유도체나 메트로니다졸 과민증 환자, 혈액질환 기왕력자, 말초신경증
환자, 임신초기 3개월 또는 가임부.
(15) AZACTAM INJ(Vial) 1g
① 적응증 : 신우신염, 방광염, 폐렴 등 하기도감염증, 골 및 관절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복강내감염증, 부인과감염증, 패혈증, 임질, 수막염.
② 용법/용량
- 성인: 보통 1g씩 1일 2-3회, 5- 14일간 근주 또는 정주. 요로감염증 1회
0.5-1g, 중등도 전신감염증 1회 1-2g을 1일 2-3회 근주 또는 정주. 중증 전신
감염증 2g씩 1일 3-4회 정주, 1일 최고 8g
- 소아: 1회 30mg/kg, 1일 3-4회 근주 또는 정주. 1일 최대 120mg/kg. 2세 이상
소아의 중증감염시 1회 50mg/kg, 1일 3-4회 권장.
③ 주의 : 알러지성 체질환자, 페니실린계 및 세펨계 과민증 기왕력자, 신,간장애환자
(16)FRUCENIL INJ(Inj) 500ml
① 적응증 : 뇌경색, 뇌내출혈, 두부외상, 지주막하 출혈, 뇌종양, 뇌수막염, 뇌의 외과 수술
후 두개내압항진, 두개내 부종치료, 안압하강이 필요한 경우.
② 용법/용량 : 성인 1회 200-500ml를 1일 1-2회 투여. 투여속도는 500ml를 2-3시간의
속도로 점적정주, 투여기간은 보통 1-2주.
③ 금기 : 유전성 과당 불내성인 환자.
④ 주의 : 심장․순환계기능장해환자, 신장해환자, 요붕증, 당뇨병환자
(17) OZOTHINE INJ(Amp) 10mg/5ml
① 적응증 : 급․만성 기관지염, 수술후 기관지염, 호흡기질환에서의 객담배출 곤란.
② 용법/용량 : 성인 1회 1앰플 1일 1-2회 근주 또는 정주, 심할경우 1일 6회까지
투여가능.
③ 금기 : 임부 또는 가임부, 수유부, 테르펜 과민증 환자.
④ 주의 : 두드러기,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비염, 편두통, 음식물 알러지등의 체질환자
또는 가족력자, 약에 의한 알러지 기왕력자, 간․신장애, 갑상선질환, 당뇨병
환자, 고열환자, 허약자, 다른 약물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18) DINOL TAB(Tab) 200mg
① 적응증 : 뼈의 파제트씨병(변형성골염)의 치료, 이상부위 골화의 예방 및 치료.
② 용법/용량 : 1일 1회, 위장장애시 분복. 파제트씨병: 초기 1일 5-10mg/kg을 6개월이내
투여, 필요시 1일 10-20mg/kg을 3개월이내 투여. 재치료는 90일 이상 휴
약후 초기치료방법을 반복. 이상부위의 골화: 둔부 전면대체환자 수술 1
개월전부터 수술후 3개월까지 1일 20mg/kg 투여. 척수상해환자 초기 2주
간은 1일 20mg/kg, 다음 10주간은 1일 10mg/kg.
③ 금기 : 임부, 수유부, 소아.
(19)CETAPRIL TAB(Tab) 25mg
① 적응증 : 본태성 고혈압.
② 용법/용량 : 1일 25-75mg, 1-2회 분복. 중증시 1일 최대 100mg.
③ 금기 : 본제 과민성 기왕력자, 다른 ACE 저해제에 의한 혈관부종 기왕력자, dextran 황
산셀룰로오스를 사용한 흡착기에 의한 LDL분리반출법 시행중인 환자, 아크릴로니
트릴메칠설포산나트륨막을 사용한 혈액시행중인 환자, 임부 또는 가임부.
④ 주의 : 중증의 신기능장해 환자, 신동맥협착 환자, 고령자
5. Nursing process
(1) 피부통합성 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거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서 지낸다.
③ 진단 : 부동으로 인한 욕창의 예방
④ 계획 : 잦은 체위 변경 / Back care
물침대의 사용
욕창사정
⑤ 수행 : 3시간에 한번씩 Back care / 체위변경 실시
물침대 사용
침요는 주름없이 펴준다.
Back care 시 욕창호발부위 집중관찰
⑥평가 : 욕창 전구증상 없음.
(2) Rt hemiparesis로인한 기동성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활력징후 측정간 사지운동시 왼쪽보다 오른쪽이 약함
③ 진단 : Rt hemiparesis로 인한 기동성장애
④ 계획 : 수동적 사지 운동 실시
hemiparesis 정도 사정
⑤ 수행 : 왼손으로 오른팔 자가 운동 및 마사지
활력 측정간 hemiparesis 정도 사정
⑥ 평가 : 지속적인 수동 사지운동 실시
(3) 많은양의 객담에 의한 가스교환장애
① 주관적 자료 : None
② 객관적 자료 : 호흡시 가래 끓는소리가 들린다.
③ 진단 : 수술 후 가래배출 능력 미비로 인한 호흡곤란장애
④ 계획 : 필요시 충분한 suction / 가슴타진으로 배농촉진
head Elevation 으로 배농촉진
⑤ 수행 : 객담으로 인한 호흡곤란시 / feeding 전 suction
침상조정으로 30°head elevation 유지
⑥ 평가 : 객담으로 인한 호흡곤란 상태 suction / 침상조정으로 호전
간 호 사 정 | ||
날짜 | object data | subject data |
02. 6. 21 | ∙craniotomy / tracheostomy op 했음 ∙지속적인 미열이 있음(T : 37.2∼37.5℃) ∙foley catheter 하고 있음 ∙L-Tube 하고 있음 ∙소변색은 희고, 흰부유물 / 거품생김 |
None |
간호진단 | ∙감염으로 인한 지속적인 미열 | |
간호목표 | ∙대상자는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고 감염의 위험성을 없앨 것이다. | |
간 호 계 획 | ||
1. | CBC / sputum 검사를 실시한다. (op 후 미열의 원인은 op상처부위로의 감염, foley catheter를 통한 요로감염, op후 합병증으로 폐렴이 있을수 있다.) |
|
2. | 방광세척을 한다. | |
3. | 대상자에게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 |
4. | V/S 확인 | |
5. | 무균적 suction / feeding | |
6. | 상처부위 드레싱 | |
7. | 소변색 관찰 (소변에 거품 / 부유물 없고 호박색을 띄게 한다.) | |
8. | foley catheter 교체 |
간 호 수 행 | ||
구 분 | 시 간 | 내 용 |
1. | 08:00 | CBC / sputum 검사시행위해 혈액 / 객담 채취후 검사실로 Sample 내려보냄 |
2. | 09:40 | V/S 확인 (T : 37.2℃),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3. | 09:50 | Feeding 하기전 손씻고 비닐장갑 사용하여 Suction하고 비닐장갑 교체후 Feeding |
4. | 10:10 | 미온수 마사지 시행 |
5. | 10:40 | V/S 확인 (T : 37.4℃),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6. | 11:00 | Dressing change by Dr. 김영균 |
7. | 11:10 | 미온수 마사지 실시 |
8. | 11:40 | V/S 확인 (T : 37.0℃),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9. | 12:00 | foley catheter 교체 |
10. | 12:30 | 방광세척 by 인턴 이인생 |
11. | 12:40 | V/S 확인 (T : 37.0℃), 소변은 흰색이고 부유물은 존재하나 거품은 사라짐 |
12. | 13:00 | CBC / sputum 검사결과 확인 - WBC / sputum 내 폐렴균 발견 못하였으므로 감염으로 인한 미열발생 아닌 것으로 확인 |
13. | 13:20 | Feeding 하기전 손씻고 비닐장갑 사용하여 Suction하고 비닐장갑 교체후 Feeding |
14. | 13:30 | 미온수 마사지 |
15. | 13:40 | V/S 확인 (T : 36.9℃), 소변은 흰색이나 거품 / 부유물 사라짐 |
16. | 13:50 | 미온수 마사지 |
17. | 14:40 | V/S 확인 (T : 36.6℃), 소변색은 흰색임 |
이론적 근거 | ||
1. | 미온수 마사지는 열의 전도와 증발을 통한 열소실을률을 높여 체온을 낮출수 있다. | |
2. | Feeding / suction 시 무균적 방법 시행(손씻기 / 비닐장갑)으로 감염의 경로 차단할수 있다. |
평 가 | ||
구 분 | 시 간 | 내 용 |
1. | 10:00 | V/S 확인 (T : 37.2℃)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로 목표달성 못함.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 필요 |
2. | 11:00 | V/S 확인 (T : 37.4℃)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
3. | 12:00 | V/S 확인 (T : 37.0℃)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고 거품 / 부유물 존재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
4. | 13:00 | V/S 확인 (T : 37.0℃)로 정상체온 유지 못해꼬, Foley catheter 교체 / 방광세척 후 소변 흰색이고 부유물은 존재하나 거품은 사라짐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
5. | 14:00 | V/S 확인 (T : 36.9℃)로 정상체온 유지 못했고, 소변은 흰색이나 거품 / 부유물 사라짐 ⇒ 지속적인 미온수 마사지 시행필요 |
6. | 15:00 | V/S 확인 (T : 36.6℃)로 정상체온 유지, 소변색은 흰색임 ⇒ 지속적인 소변색 관찰 필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