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급성 신우신염은 신장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병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위 질환을 택하였다. 위 케이스의 대상자는 급성 신우신염의 대표적인 원인, 증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급성 신우신염을 고찰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대상자라 생각하였고 실습기간 동안 원활히 진행되었다.
2. 문헌고찰
신장
-구조
후복강내 척주의 양측편에 위치한다. 신장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누운 자세에서 신장은 제12흉추와 제3요추 사이에 있으며, 우측 상복부에 있는 간의 위치 때문에 오른쪽 신장이 왼쪽보다 약간 아래에 있다.
성인의 평균 길이11cm, 폭 5.0~7.5cm, 두께 2.5cm 정도이며, 지방피막과 장막하근막에 의해 복벽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은 복부나 후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옆구리, 복부의 근욱과 피하지방층에 의해 보호받는다. 세뇨관계는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으로 구성된다. 근위세뇨관의 내면은 수백만개의 미세융모로 되어 있어 막 표면을 넓혀 재흡수를 많이 할 수 있다. 수질층으로 내려가면서 세뇨관은 급격히 좁아져 하행헨레고리가 된다. 그리고 다시 방향을 바꾸어 상핸헨레고리를 형성한다.
-기능
소변의 형성
사구체의 여과, 세뇨관의 재흡수와 분비과정을 거쳐 하루 약 1500ml 정도 소변을 형성한다. 이 과정을 통해 체내 체액량, 전해질, 산도를 조절하고 노폐물을 배설한다.
수분과 전해질의 조절
체액량은 신혈류량이 적절하면 네프론의 희석기전과 농축기전을 통해 조절된다.
산-염기 균형
인산, 케톤산, 요산, 황산 등의 대사성 산이 신장에서 배설되어 체내 산도를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혈압의 조절
신장에서 레닌을 분비하여 체액량을 유지하고 혈관수축반응을 강력하게 자극하여 혈압을 조절한다.(레닌-안지오텐신체계)
기타 대사 및 내분비기능
활성비타민 합성,, 적혈구조혈인자 생성, 인슐린 분해, prostaglandin 합성 기능이 있다.
소변의 이동
네프론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집합관에서 피라미드로 옮겨진 후 개구부를 통해 신우로 흐른다. 소변이 신우로 유입되어 팽창하면 근육벽이 수축하여 요관신부 엽접부를 거쳐 소변을 요관으로 밀어낸다.
acute pyelonephritis
1) 원인
세균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며, 원인균의 85%는 대장균이다. 젊은 여성의 경우 특별한 해부학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없어도 잘 발생하며, 비뇨기계와 관련된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2) 병태생리
대개의 경우는 하부요로의 파급에 의한 경우가 많으므로 방광염과 같은 원인과 병태 생리를 갖는다. 방광과 요로사이에 구조적이상이나 역류현상, 요로에 종양, 협착, 결석, 전립선비대 등이 있어 소변의 흐름이 자유롭지 못할 경우 빈도가 현저히 증가하므로, 소아나 남자 환자 등 일부 환자에서는 의사에 판단에 따라 이런 이상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할 때도 있다.
3) 증상과 징후
표적 증상으로는 수시간 내지 하루 사이에 급격히 발생하는 39.4℃ 이상의 고열, 오한, 그리고 일측성 또는 양측성 측복부 통증이며 배뇨통, 빈뇨, 급박뇨 등의 하부요로 증상을 동반할 수도 있다. 유아 및 소아에서는 식욕부진과 체중감소와 같은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4) 진단적 검사
신우신염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소변검사 및 요 배양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검사는 소변 속의 백혈구와 세균을 검사하고 요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원인이 되는 균을 확인한다.
5) 치료
항생제는 7~14일간, 24시간동안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투여한다. 투약이 끝나고 1주 후에 소변의 추후 배양검사를 통해 소변 속에 균이 없음을 확인해야 하며 몇 개월 동안은 매달 소변배양검사를 한다.
6) 간호중재
- 처방된 항생제, 해열제 투여한다.
- 필요시 미온수로 수건 마사지를 한다.
- 필요시 겨드랑이에 ice bag을 대도록 한다.
- 처방된 수액을 정맥으로 공급한다.
7) 특수치료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72시간 내에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뇨생식기계에 이상이 없는지, 신장에농양이 형성된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신장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8) 합병증
요로 폐쇄가 있거나 신장 농양(고름)이 동반된 복합 신우신염의 경우 초기에 입원치료 및 주사 항생제가 필요하고, 기존 질환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