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교육의 10대 원리
1. 활동의 원리
학생들은 같은 또래와의 인간관계에서 안정감을 갖게 되면 능동적인 활동을 하게 되어 치료적인 효과도 나타낸다. 이때 소집단은 5~10명 정도가 좋으며 생활연령이나 장애정도가 비슷한 동질인 것이 좋다.
2. 흥미의 원리
학습은 정서가 안정되고 주의가 집중, 계속적이 되고 학습의욕이 증진될 때 성과가 나타남. 학생들의 흥미는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 교제를 사용해야 하며 임기응변으로 방법을 바꾸어 나가야 한다.
3. 허용의 원리
지체부자유 학생들은 여러 가지 욕구불만을 가지고 있다. 즉, 불안과 열등감 주위 사람들에 대한 경계나 공포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없애기 위해서는 허용적 인간관계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교사는 가르치는 입장이 아니라 치료자의 입장이어야 한다. 심리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심적 갈등을 받아들이는 허용적인 태도이다.
4. 상찬의 원리
정서불안이 제거되면 적극적인 학습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찬이 필요하다. 상찬은 적극적인 행동의 동기부여가 된다. 상찬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요구 수준에 맞추어야 하며 결과보다 그 동기를 중요시해야 한다.
5. 자신감의 원리
정서불안이나 열등감을 가진 학생들은 자기의 행동에 대하여 자신감을 잃는다. 자신감을 상실한 학생들에 대해서는 언어로 격려해도 별 효과가 없기 때문에 요구 수준을 낮추어 성공 감을 맛보게 하는 것만이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작업의 결과만을 비교 평가하지 말고 개별적 진전도에 따른 평가를 해야 하며, 자발 활동, 자기 표현, 자신 획득을 목표로 해야 한다.
6. 예견의 원리
학생들의 행동을 예견할 수 있다는 것은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상 행동의 원인과 그 과정이 명료해지면 그 발생을 예견하여 예방할 수 있다.
7. 변화의 원리
장애학생의 공통적인 특징은 정서 불안과 주의 산만이다. 반복 연습이 필요하다고 해서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면 실증을 느끼기 때문에 흥미 위주의 새로운 것에 의한 변화 있는 반복이어야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에 따른 변화이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의 통찰에 예민해야 한다.
8. 집중의 원리
뇌성마비 학생들은 주의가 산만하기는 하지만 대상의 유의성에 따라 열중할 수 있으며 지속력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뇌성마비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흥미가 있어 집중하게 되면 끝까지 계속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이러한 것들은 자기의 장애를 극복하는 힘을 기르게 한다.
9. 공재의 원리
공재란 교사와 학생이 늘 함께 있다는 뜻이다. 학생과 함께 놀고, 이야기하고, 웃고, 식사하는 인간적 접촉은 치료적인 효과도 크다.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은 학생과 함께 하는 데서 생기며 성장하는 것이다. 교사를 중심으로 학급 학생들이 친구의 식이 싹트게 되면 정서도 안정되고 의욕적인 집단이 될 수 있다.
10. 체감의 원리
애정은 접근에서 생기고 육체적 접촉에서 더욱 심화된다. 학생에 대한 애정은 신체적 접촉을 통할 때 더욱 뜨거워지는 것이다. 대체로 학생들은 교사를 무서워하여 애정의 교류가 잘 되지 않는다. 장애학생의 경우에 교사가 학생들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기, 악수하기, 안아 주기 등은 친밀감이 커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학생들을 훈계할 때 손을 꼭 잡고 온정으로 타이르면 치료적 효과도 커지는 데 이것은 어릴수록, 정신연령이 낮을수록 더욱 필요하다.
댓글